-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고수리에 있는 공원. ‘모두가 마음의 티끌을 씻어내고 남을 칭찬하는 열린 가슴으로 밝은 미래로 나아가기 위해.’라는 슬로건으로 2000년 9월 준공되었다. 청도군청에 가깝고, 청도읍사무소 맞은편에 있어 청도군 내 각종 공익 행사 및 캠페인 개최 장소로 활용된다. 분수대, 어린이 놀이터, 황소 조형물이 설치되 있으며, 느티나무와 소나무 등의 조경목이 설치되어...
-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고수리에 있는 공원. ‘모두가 마음의 티끌을 씻어내고 남을 칭찬하는 열린 가슴으로 밝은 미래로 나아가기 위해.’라는 슬로건으로 2000년 9월 준공되었다. 청도군청에 가깝고, 청도읍사무소 맞은편에 있어 청도군 내 각종 공익 행사 및 캠페인 개최 장소로 활용된다. 분수대, 어린이 놀이터, 황소 조형물이 설치되 있으며, 느티나무와 소나무 등의 조경목이 설치되어...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범곡리에 있는 사회단체. 지역의 주요 연례행사인 소싸움장과 같은 다중 집합지의 질서 계도와 봉사 활동, 그리고 취약 계층으로 소외되어 있는 어려운 이웃을 돕는 등 지역 사회 봉사 활동을 전개하여 이웃을 아끼고 지역을 사랑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80년 8월 4일에 청도군 지역 정화 운동 추진 위원회가 구성되었다. 1988년 12월 20일에 사회 정화 국민운...
-
조선 후기 청도 출신의 의병.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효원(孝元). 할아버지는 박하담(朴河淡)이며, 아버지는 증 참판 박이(朴頤)이고, 어머니는 의흥 예씨(義興芮氏)이다. 제우당 박경전(朴慶傳)의 아우이다. 부인은 숙부인 성산 이씨(星山李氏)이다. 박경선(朴慶宣)[1561∼1592]은 어려서부터 골격이 비범하고 힘이 남보다 뛰어났으며, 독서하는 여가에 무예를 겸하여 닦았다. 1...
-
조선 전기 청도 출신의 무신.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중선(仲宣), 호는 삼우정(三友亭). 할아버지는 박하담(朴河淡)이며, 참판에 증직된 아버지 박영(朴潁)과 참봉을 지낸 장후(張煦)의 딸 창녕 장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첫째 부인은 예회간(芮檜幹)의 딸 의흥 예씨이며, 두 번째 부인 김려문(金麗文)의 딸 분성 김씨이다. 분성 김씨와의 사이에 박지남과 박철남을 두었다. 박경신(朴...
-
조선 후기 청도 출신의 의병.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효중(孝仲), 호는 국헌(菊軒). 할아버지는 박하담(朴河淡), 아버지는 장사랑 박이(朴頤), 어머니는 만호 예신충(芮信忠)의 딸 의흥 예씨(義興芮氏)이다. 제우당 박경전(朴慶傳)의 아우이다. 부인은 장사랑 김응권(金應權)의 딸 경주 김씨이다. 아들이 선무원종공신 2등에 녹훈된 첨정 박린(朴璘)이다. 박경윤(朴慶胤)[1555∼...
-
조선 전기 청도 출신의 의병.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희중(禧仲), 호는 용연(龍淵). 할아버지는 박하담(朴河淡)이다. 참판에 증직된 아버지 박영(朴潁)과 참봉을 지낸 장후(張煦)의 딸 창녕 장씨 사이에 태어났다. 처는 참봉 송경(宋璟)의 딸 여산 송씨이며, 아들은 선무원종공신 3등에 녹훈된 박선(朴瑄)이다. 박경인(朴慶因)[1542∼1592]은 어릴 때부터 기절(氣節)과 의리...
-
조선 후기 청도 출신의 의병.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효백(孝伯), 호는 제우당(悌友堂)·이모당(二慕堂). 할아버지는 박하담(朴河淡), 아버지는 장사랑(將仕郞) 박이(朴頤), 어머니는 만호(萬戶) 예신충(芮信忠)의 딸 의흥 예씨(義興芮氏)이다. 배위는 군수 박옥형(朴玉衡)의 딸 순천 박씨로 아들 박정(朴珽)과 박기(朴璣)를 두었다. 박경전(朴慶傳)[1553∼1623]은 어려서...
-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박곡리에 있는 교회. 박곡 교회는 1962년 대한 예수교 장로회[통합]과 대한 예수교 장로회[합동] 교단 분열로 인하여 갈라진 이후 1990년대 초반 합쳐지면서 현재까지 무교단으로 활동 하고 있다. 박곡 교회의 최초 설립일은 1906년 4월 20일로 보고 있지만 자세하지는 않다. 박곡 교회는 마을의 교회로 있다가 1950년대 후반, 교단에서 세계 교회 협의회...
-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박곡리에 있는 저수지. 신지리를 포함한 주변 일대의 농업용수 확보를 위하여 1999년에 건립되었다. 대비 저수지는 박곡리와 신지리 두 지역의 농업용수 확보를 위하여 1차적으로 공급된 시설로서 이 일대의 주수원공이다. 동창천의 지류인 신지천 상류에 있으며, 억산[944.0m]과 대비사의 계곡수가 집수된다. 제방의 높이는 30.9m, 길이는 202m이다. 유역...
-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에 속하는 법정리. 운문사와 역사를 같이하는 대비사가 있어 오래전부터의 기록이 있는 마을이다. 조선 총독부의 기록에 박석동(珀石洞)이라는 이름은 흙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박(珀)은 호박을 의미하는데, 호박은 지질 시대 나무의 진 따위가 땅속에 묻혀서 수소, 탄소, 산소 등과 화합하여 돌처럼 굳어진 누렇고 광택이 있는 광물이다. 박곡리는 예전부터 도자기가 발...
-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박곡리에 있는 삼국 시대 고분 떼. 박곡리 고분 떼는 지방도 987호선에서 박곡리 마을로 약 3㎞ 가량 떨어진 거리에 있다. 박곡리 한지 각단 마을의 서북쪽에 구릉 해발 140∼150m에 분포하고 있다. 금천 초등학교 삼거리에서 신지리 방면 마을길을 따라 올라가는 대비 저수지 중간 정도에 있다. 박곡 보건 진료소와 박곡 새마을 회관 삼거리에서 정면으로 바라보...
-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박곡리에 있는 석탑. 고려 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석탑으로 박곡리 석조 석가여래 좌상 보호각 앞에 있다. 청도군 금천면 박곡리 미륵당 마을 복판에 석조 석가여래 좌상이 있는 보호각 앞에 있다. 박곡리 석탑은 화강석의 단층 기단 위에 1층 탑신과 1층과 2층의 옥개석만이 남아 있다. 2중 기단으로 추정되나 하층 기단은 없어 불안한 형태이다. 단층 기단에는 우주...
-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박곡리에 있는 절터. 청도군 금천면 박곡리 절터는 신라 진흥왕 때 창건된 오갑사(五岬寺)의 하나인 소작갑사(小鵲岬寺) 절터의 한 곳으로 추정되는 절터이다. 지금은 과수원과 버섯 재배지로 활용되며, 불상 유적과 기와 파편이 여러 곳에 흩어져 있다. 출토되는 유물로 보아 신라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존속했던 사찰의 터이다. 소작갑사지에 대한 존재와 위치를 기록한...
-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박곡리에 있는 저수지. 신지리를 포함한 주변 일대의 농업용수 확보를 위하여 1999년에 건립되었다. 대비 저수지는 박곡리와 신지리 두 지역의 농업용수 확보를 위하여 1차적으로 공급된 시설로서 이 일대의 주수원공이다. 동창천의 지류인 신지천 상류에 있으며, 억산[944.0m]과 대비사의 계곡수가 집수된다. 제방의 높이는 30.9m, 길이는 202m이다. 유역...
-
조선 후기 청도 출신의 의병. 본관은 밀양(密陽). 증조할아버지는 소요당 박하담(朴河淡), 할아버지는 증 참판 박이(朴頤)이고, 아버지는 국헌(菊軒) 박경윤(朴慶胤)이다. 경상북도 청도군 입암(立巖)에서 태어났다. 처는 수문장 박종(朴宗)의 딸 죽산 박씨이다. 박구(朴球)[1577∼1605]는 어릴 때부터 담략이 크고 무예에 뛰어났다. 임진왜란 때 부형들과 함께 청도 의병에 가담하...
-
조선 전기 청도 지역에서 활동한 의병.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명보(明甫). 정랑 박하청(朴河淸)의 증손이고, 참봉 박옹(朴顒)의 손자로, 공릉(恭陵) 참봉 박경찬(朴慶纘)의 계자(繼子)이다. 생부는 참봉 박경서(朴慶緖)이며, 부인은 공인(恭人) 청주 곽씨이다. 박근(朴槿)[?∼?]은 일찍이 사마시에 합격하여 성균관 진사로서 학업에 전념하다 임진왜란을 당하여 밀양 박씨 일문에서...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박근이는 1908년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고수리(高樹里)에서 출생하였다. 1931년 11월 19일 군용 열차 전복 의거에 참여하였다. 박근이(朴根伊)[1908∼?]의 원적은 청도군 종도면[현 매전면] 덕산리 721번지이고, 본적은 청도군 대성면 고수리 312번지이다. 박근이는 청도 토박이로 아버지 박대백(朴大伯)과 어머니 김연손(金年孫...
-
조선 후기에 청도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민헌(敏獻), 호는 죽와(竹窩)이다. 제우당 박경전의 아들이며, 상우재 박경준의 계자(系子)이다. 어머니는 군수 박옥형(朴玉衡)의 딸 순천 박씨이고, 부인은 충의위 서사도(徐思道)의 딸 이천 서씨이다. 박기(朴璣)[1590∼1667]는 수직(壽職)으로 통정대부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냈으며 1667년(현종...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박기수는 1924년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덕양리 1157번지에서 출생하였다. 1944년 일제에 의해 강제 징용되어, 1944년 9월 초 중국 호남성 형산까지 갔으나 일본군을 탈출하여 1944년 9월 광복군에 입대하였다. 1945년 4월 광복군 제1 지대 제3 구대에 입대하여 중국군과의 합동 작전에 참여하였다. 본관은 밀양(密陽). 일제에 의해...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박기현은 1925년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오봉동 292번지에서 출생하여 1996년 사망하였다. 1945년 일제의 징집 훈련 반대를 주동하였다. 박기현(朴琪鉉)[1925∼1996]은 향리에서 한학을 공부한 후 농업에 종사하였다. 1945년 2월경 금천면 금천 공립 보통학교에서 일본군의 징집 훈련을 받던 중, 일본군에게 도움을 주지 말자고 주민...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박대호는 1895년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면 고평리에서 출생하여 1947년 사망하였다. 1913년 3월 중국 요녕성 환인현(桓仁縣)으로 이주하여 1922년 통의부(統義府), 1923년 의군부(義軍府) 등의 독립운동 단체에서 활동하다가 1932년부터 조선 혁명군에 참여하여 주요 간부로 활동하였다. 본관은 밀양(密陽). 박대호(朴大浩)[1895∼19...
-
조선 전기 청도 출신의 선비.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운경(雲卿), 호는 농암(聾巖). 밀직 부사 박양언(朴良彦)의 후손으로서 두촌 박양무(朴揚茂)의 5세손이다. 순천 교수(順天敎授) 박맹문(朴孟文)의 둘째아들이고 청도 교수 박린(朴麟)의 아우이며 군수 박호(朴虎)의 종형이다. 어머니는 점마사(点馬使) 최수희(崔受禧)의 딸로 곡강 최씨(曲江崔氏)이다. 부인은 지주사 정습명(鄭襲...
-
조선 전기 청도 출신의 학자. 본관은 밀양(密陽). 호는 눌암(訥巖). 밀직 부사 박양언(朴良彦)의 후손으로서 두촌 박양무(朴揚茂)의 5세손이다. 아버지 순천부 유학 교수(順天府儒學敎授) 박맹문(朴孟文)의 맏아들이고 성균관 진사 박란(朴鸞)의 형이다. 어머니는 점마사(点馬使) 최수희(崔受禧)의 딸로서 곡강 최씨(曲江崔氏)이다. 박린(朴麟)[?-?]은 조선 중종 때 선무랑(宣務郞)에...
-
개항기 청도 출신의 의병. 박문선은 조선 말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淸道郡)에서 출생하였다. 1906년 3월 산남 의진에 참여하여 중군장 박용운(朴龍雲)과 함께 청도를 비롯하여 영천·창녕 등지에서 활동하였다. 본관은 밀양(密陽). 박문선(朴文善)[?∼?]은 1906년 3월 산남 의진에 참여하여 중군장 박용운과 함께 청도·영천·창녕 등지에서 활동하였다. 산남 의진은 1906년 3월부...
-
1878년 경상도 청도군 중동면에 거주하고 있던 박민탁의 호구 단자. 「박민탁 호구 단자(朴珉琢 戶口 單子)」의 작성자는 해당 호(戶)의 호주인 박민탁이다. 박민탁은 본관이 밀양이고, 직역(職役)이 유학(幼學)이며, 1843년 생[계묘생]으로 호구 단자를 제출하던 당시 36세였다. 경상도 청도군 중동면(中東面) 길부리(吉富里)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곳은 지금의 경상...
-
조선 전기 청도 출신의 효자. 본관은 밀양(密陽). 호는 모와(慕窩). 고려 봉익대부 밀직 부사 박양언(朴良彦)의 후손으로, 두촌(杜村) 박양무(朴揚茂)의 7세손이다. 박광생(朴光生)의 둘째아들이고, 진사 박광형(朴光亨)의 양자이다. 어머니는 참봉 김명록(金命祿)의 딸로 상주 김씨(尙州金氏)이고 양어머니는 좌통례(左通禮) 유저(柳渚)의 딸로 약목 유씨(若木柳氏)이다. 부인은 유저(...
-
조선 후기 청도 출신의 학자.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은원(恩遠), 호는 지암(芝巖)이다. 고려 봉익대부 밀직 부사 박양언(朴良彦)의 후예로, 두촌 박양무(朴揚茂)의 10세손이고, 일청재 박호(朴虎)의 5세손이다. 학생 박지빈(朴之贇)의 차남이다. 박상고(朴尙古)[1654∼1718]는 46세 되던 1699년(숙종 25) 식년 사마시 진사과에 재종제 박태고(朴太古)와 함께 급제하...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박근이는 1908년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고수리(高樹里)에서 출생하였다. 1931년 11월 19일 군용 열차 전복 의거에 참여하였다. 박근이(朴根伊)[1908∼?]의 원적은 청도군 종도면[현 매전면] 덕산리 721번지이고, 본적은 청도군 대성면 고수리 312번지이다. 박근이는 청도 토박이로 아버지 박대백(朴大伯)과 어머니 김연손(金年孫...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박상노는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사촌리에서 출생하여 청도읍 내호리 259번지에 거주하였다. 1941년 2월 독립운동 단체 동진회(東進會)를 조직하여 활동하였다. 박상노(朴相老)[1925∼?]는 1938년 3월 밀양 상동 보통학교를 졸업한 후, 고향에서 정미소를 경영하고 있었다. 1941년 1월 27일 청도읍 유호리 출신의 허남귤(許南橘)...
-
경상북도 청도군 출신의 서양화가. 박상락(朴相洛)[1925∼1978]은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에서 태어나 휘문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아버지와 함께 중국으로 건너가 홍아 학원에서 중국어를 배웠다. 1943년에는 북경(北京)에서 열린 미술 전람회에서 유화 「우인상」으로 입상하였다. 이후 본격적인 미술 수업을 시작하려 했지만 아버지의 반대로 좌절되었다가 귀국 후 부친이 사망한 뒤 미술...
-
조선 후기 청도 출신의 의병.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자복(子復), 호는 괴정(槐亭)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소요당 박하담(朴河淡)이며, 용연(龍淵) 박경인의 아들이고, 어머니는 참봉 송경(宋璟)의 딸 여산 송씨이다. 처는 군수 김극유(金克裕)의 딸 정부인 청도 김씨이며, 아들은 박동흠(朴東欽)과 박동온(朴東溫)이 있다. 박선(朴瑄)[1571∼1614]은 천성적으로 총명하고 말이...
-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송서리에 있는 박성곤 기념비. 도상읍[(1855∼1919]은 본관이 성주로 낙음공파(洛陰公派) 28세다. 자는 문진으로 사용(司勇) 도순호(都順浩)의 아들이다. 1895년(고종 32) 통훈대부행선산부사(通訓大夫行善山府使)를 제수받았으며 주사(主事)를 역임했다. 비문의 내용을 근거로 주사로 재직 중이던 도상읍으로부터 감세(減稅)와 구휼의 은택을 입은 녹명리 주...
-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흑석리에 있는 비각. 박수광(朴秀光)의 처(妻)인 김해 김씨의 효열(孝烈)을 칭송하기 위해 밀양 박씨 문중에서 건립한 열부각이다. 각남면에서 고암면 방향으로 국도 20호선을 따라 오다 청도 풍각 농공 단지를 지나 흑석리로 약 1㎞ 정도 가면 길가 우측에 위치하고 있다. 김해 김씨 열부각은 1893년에 건립되었다고 전한다. 열부각은 단칸[單間] 규모의 맞배 기...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의병. 박수길은 1879년(고종 16)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에서 출생하여 경남 일대에서 의병장으로 활약하다 1908년 순국하였다. 일제는 1907년 헤이그 특사 사건을 빌미로 광무 황제를 강제로 퇴위시키고, ‘정미 7조약(丁未七條約)’을 체결하여 한국 군대를 강제로 해산시켰다. 이에 해산 군인들이 대거 의병 대열에 참여함으로써 의병 항쟁은 전국적으로 확대...
-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덕촌리에 있는 비각.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덕촌리 510-2에 위치한다. 지방도 902호선을 따라 각북면사무소에서 헐티재 방향으로 약 200m 정도 이동하면 길 우측에 비각이 있다. 박수철의 효행을 칭송하기 위해 밀양 박씨 문중에서 건립한 효자각은 정확한 건립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조선 시대에 건립되었다고 전한다. 비각은 단칸[單間] 규모의 맞배 기와집이...
-
조선 후기 청도 출신의 학자이자 의병.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경로(景老), 호는 국담(菊潭)·숭정처사(崇禎處士). 동몽교관(童蒙敎官) 박신(朴愼)의 아들이다. 박수춘(朴壽春)[1572∼1652]은 가학(家學)을 이어받았으며 항상 『소학』을 애독하였다. 1957년 정유재란 때 의병을 모집하여 창녕의 화왕산성(火旺山城)에서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싸웠다. 1618년(광해군 10)...
-
조선 후기 청도 출신의 의병.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이헌(而獻), 호는 용암(龍巖). 증조할아버지는 박하담(朴河淡)이며, 아버지는 공조 참의에 증직된 박경연(朴慶延)이고, 어머니는 부정(副正) 강경우(姜景愚)의 딸 진주 강씨이다. 기포(杞圃) 박우(朴瑀)의 아우이며, 처 이반(李礬)의 딸 고성 이씨와의 사이에 아들 셋을 두었다. 박숙(朴琡)[1578∼1639]은 다섯 형제 중...
-
경상북도 청도군 출신의 국회 의원. 박숙현(朴淑鉉)[1924∼2006]은 1924년 4월 경상북도 청도군에서 출생하였고, 슬하에 1남 3녀를 두었으며 부인은 이정혜이다. 휘문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1950년 서울 대학교 의과 대학원에서 박사를 받았다. 1952년 경상북도 보건과 과장을 지낸 뒤 1964년부터 1970년까지 박정희 대통령 경제 비서관을 역임했다. 1971년 공화당의...
-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남양 2리에서 빨치산에 항거한 반공 투사. 박순형은 청도군 매전면 남양 2리의 민보 단장으로, 1949년 음력 4월 28일 마을 뒷산에 수상한 사람이 숨어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 민보 단원 및 마을 청년들과 함께 생포하여 매전 지서에 인계하였다. 그러나 이 일이 발생한 지 한 달 뒤 국군 복장으로 위장한 빨치산들이 마을에 들어와 주민들을 향해 총과 칼로 보복할...
-
조선 후기 청도 출신의 학자.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휘도(輝道), 호는 운강(雲岡). 할아버지는 박장덕(朴章德)이다. 아버지는 박정주(朴廷周), 어머니는 김종악(金宗岳)의 딸 월성 김씨(月城金氏)이다. 처는 사헌부 지평 이병영(李秉瑩)의 딸 숙부인 경산 이씨(京山李氏)이다. 박시묵(朴時默)[1814∼1875]은 정재 유치명(柳致明)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영남의 대학자인 이원...
-
1603년 밀양에 거주하는 박안생이 청도 군수와 순찰사에게 보낸 소지 2점. 박안생 관련 고문서는 1603년 2월의 소지(所志), 1603년 4월 4일 관문(關文), 1603년 4월 소지로서, 점련(粘連)되어 있다. 2월의 소지는 박안생이 청도 군수에게 제출한 것이며, 관문은 청도 군수가 현풍 현감에게 재판을 이송하며 보낸 것이다. 4월의 소지는 박안생이 순찰사(巡察使)에게 보낸...
-
고려 후기 청도 출신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약생(若生), 호는 두촌(杜村). 밀직 부사 박양언(朴良彦)의 후예로서, 할아버지는 중서령 박원광(朴元光)이고 아버지 보승오위 박기봉(朴奇鳳)의 둘째아들이다. 청도 밀양 박씨 밀직부사공파 두촌공 문중의 입향조이다. 어머니는 직장 김인계(金仁桂)의 딸로서 경주 김씨이다. 처는 현령 백문질(白文質)의 딸로서 청도 백씨이다. 박양...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박영호는 1913년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면 고평리에서 출생하여 조선 혁명군 부사령관인 형 박대호(朴大浩)를 따라 1931년 조선 혁명군에 참여하여 활동하다가 1935년 중국 관전현(寬甸縣)에서 순국하였다. 본관은 밀양(密陽)이다. 박영호(朴永浩)[1913∼1935]는 조선 혁명군 부사령관이었던 형 박대호(朴大浩)를 따라 1931년 조선 혁명군에...
-
경상북도 청도군 출신의 여류 시조 시인. 박옥금(朴玉金)[1927∼2005]은 호가 남주이며, 경상북도 청도군 출생이다. 1972년 첫 시조집 『탑(塔)』을 간행하였으며, 그 후로도 계속 시조를 발표한 여류 시조 시인으로 1,000편 이상의 작품을 남겼다. 박옥금은 시조 시인 이호우·이영도 남매가 태어난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유호리에서 태어나서, 부모님이 북만주로 떠난 고향에서...
-
경상북도 청도군 출신의 종교인. 박용묵(朴瑢默)[1918∼1991]은 18세 되던 1936년 만주 길림성 길림 신학교에 입학하여 1939년 길림 신학교를 제1회로 졸업하였다. 1946년 6월 16일 경상북도 경산군 와촌면 덕촌리의 박사 교회에서 설교하는 것으로 목회 생활을 시작하여 문화 교회, 대구 동신 교회, 대길 교회 등에서 40여 년간 목회를 하였다. 1974년에 조직된 ‘한...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박근이는 1908년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고수리(高樹里)에서 출생하였다. 1931년 11월 19일 군용 열차 전복 의거에 참여하였다. 박근이(朴根伊)[1908∼?]의 원적은 청도군 종도면[현 매전면] 덕산리 721번지이고, 본적은 청도군 대성면 고수리 312번지이다. 박근이는 청도 토박이로 아버지 박대백(朴大伯)과 어머니 김연손(金年孫...
-
개항기 청도 출신의 의병. 박용운은 조선 말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에서 출생하였다. 1906년 3월 산남 의진의 중군장으로 청도·영천·창녕 등지에서 활동하였다. 본관은 밀양(密陽). 박용운(朴龍雲)[?∼?]은 참봉으로, 산남 의진의 중군장이 되어 청도를 비롯하여 영천·창녕 등지에서 활동하였다. 산남 의진은 1906년 3월부터 1908년 7월까지 경상북도 영천과 영덕·청송군 일대에서...
-
조선 후기 청도 출신의 무신.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중헌(仲獻), 호는 기포(杞圃). 증조할아버지는 박하담(朴河淡)이고, 아버지는 공조 참의에 증직된 박경연(朴慶延)이며, 어머니는 부정(副正) 강경우(姜景愚)의 딸 진주 강씨이다. 임란공신 삼우정 박경신(朴慶新)의 조카이다. 박우(朴瑀)[1576∼1637]는 경상북도 청도군 수여현[지금의 이서면 수야리]에서 태어났다. 왜란이...
-
조선 후기 청도 출신의 무신. 본관은 죽산(竹山). 자는 남거(南擧), 초명(初名)은 정붕(廷鵬). 아버지는 박희태(朴熙泰), 할아버지는 박취광(朴就光), 증조할아버지는 박민좌(朴敏佐)이다. 어머니는 이익무(李益茂)의 딸이고, 부인은 박경보(朴敬甫)의 딸이다. 박유붕(朴有鵬)[1806∼?]은 1844년(헌종 10) 증광 무과에 급제하여 무관이 되었고, 경상도 중군(中軍)을 거쳐 가...
-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원정리에 있는 근대 주택. 조선 말기에 전라남도 수군절도사를 지낸 박유붕(朴有鵬)[1806∼?]의 증손인 박영재(朴英在)[1889∼1966]가 건립한 주택이다.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원정리 802에 위치한다. 국도 20호선을 따라 청도읍 소재지의 모강 사거리에서 부야리 방향으로 오다가 원당 삼거리에서 우회전하여 들어오면 좌측 첫 번째 골목 안쪽에 위치하고...
-
조선 전기 청도 지역의 효자. 수군(水軍) 박동(朴同)의 아들이다. 박윤손(朴閏孫)[?∼?]은 17세에 어머니가 빨래하는데 따라갔다가 호랑이가 어머니를 물어 가자, 왼손으로 어머니를 붙잡고 오른손으로 돌을 던지며 1.96㎞ 남짓을 쫓아갔다. 이웃사람들이 듣고 달려오니 호랑이가 드디어 어머니를 버리고 갔는데, 그만 큰 부상을 입은 어머니는 그날 한밤중에 죽었다. 이 일이 『신증동국여...
-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온막리에 있는 박윤손 효자비. 박윤손(朴閏孫)은 수군 박동의 아들이다. 어머니가 빨래하러 갔다가 호랑이에게 물려가자 왼손으로 어머니를 붙들고 오른손으로 돌을 던지며 5리 남짓 쫓아갔다. 이웃 사람들이 이 소리를 듣고 달려와서 구했으나, 호랑이에게 많이 물린 어머니는 그날 밤에 사망하였다. 박윤손은 슬퍼하면서 정성을 다해 장례를 치렀고, 이 일이 임금에게 알려...
-
조선 전기 청도 지역의 문신. 박융은 조선 전기의 문인으로, 1408년(태종 8) 생원시를 거쳐 식년 문과에 급제하여 정언·전한 등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으나 그 사이 두 번의 면직 처분을 받았다. 하지만 다시 서용되어 성균관 사예(司藝) 등 경외(京外) 여러 관직을 거쳤다. 이후 함안 군수로 파견되어 목민에 힘쓰다가 1428년(세종 10) 임지에서 세상을 떠났다. 본관은 밀양(密陽...
-
고려 말 후손이 청도로 이주한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초명은 천익(天翊), 자는 태시(太始), 호는 송은(松隱). 판도 판서(版圖判書) 박영균(朴永均)의 아들이며, 모친은 능주 구씨(綾州具氏)로 좌정승 구위(具褘)의 딸이다. 박익(朴翊)[1332∼1398]은 고려의 신하로서 1386년(우왕 12) 동경(東京) 판관(判官) 재직 중 권농 방어사를 겸했다. 그 후 사재 소감(司宰...
-
고려 말 후손이 청도로 이주한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초명은 천익(天翊), 자는 태시(太始), 호는 송은(松隱). 판도 판서(版圖判書) 박영균(朴永均)의 아들이며, 모친은 능주 구씨(綾州具氏)로 좌정승 구위(具褘)의 딸이다. 박익(朴翊)[1332∼1398]은 고려의 신하로서 1386년(우왕 12) 동경(東京) 판관(判官) 재직 중 권농 방어사를 겸했다. 그 후 사재 소감(司宰...
-
조선 후기 청도군에서 발급한 노비 매매의 확인 문서. 1595년(선조 28) 2월 20일 경상도 경주부 옥산(玉山)에 거주하던 주부(主簿) 이준(李浚)[1540∼1623]이 청도군 소재의 노비를 매득한 뒤, 그 사실을 증빙하는 과정에서 작성된 박장(朴璋)의 초사(招辭)이다. 1594년 11월 25일 주부 이준은 박장이 보유하고 있는 노비 3구(口)를 매득하고 명문(明文)을 작성하였...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청도군 출신의 유학자.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문경(文卿), 호는 중산(中山). 아버지는 박재범(朴在範)이고, 어머니는 창녕 성씨(昌寧成氏)이며, 부인은 재령 이씨이다. 박장현(朴章鉉)[1908∼1940]은 어린 시절 고향의 보성 학원(普成學院)에서 신학문을 배웠고, 18세부터 조긍섭(曺兢燮) 문하에서 도학(道學)에 정진하였다. 이후 송준필(宋浚弼)·하겸진...
-
개항기 청도 출신의 학자.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백옹(伯翁), 호는 진계(進溪), 초명은 박재성(朴在誠). 할아버지는 박정주(朴廷周)이고, 증(贈) 좌승지 박시묵(朴時默)과 사헌부 지평 이병영(李秉瑩)의 딸 숙부인 경산 이씨(京山李氏)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처는 군수 이박상(李博祥)의 딸 여강 이씨이다. 박재형(朴在馨)[1838∼1900]은 청도군 금천면 출신으로, 정...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박재영은 1878년(고종 15)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대천리(大川里)에서 출생하여 1944년 사망하였다. 1919년 3월 18일 청도군 운문면 만세 운동에 참가하였다. 1919년 3월 18일 전개된 운문면 만세 운동은 문명 학교(文明學校) 졸업생 및 교사들이 주동하였다. 당시 문명 학교 졸업생 김상구(金相久)는 김종태(金鍾台)와 함께...
-
개항기 청도 출신의 학자.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백옹(伯翁), 호는 진계(進溪), 초명은 박재성(朴在誠). 할아버지는 박정주(朴廷周)이고, 증(贈) 좌승지 박시묵(朴時默)과 사헌부 지평 이병영(李秉瑩)의 딸 숙부인 경산 이씨(京山李氏)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처는 군수 이박상(李博祥)의 딸 여강 이씨이다. 박재형(朴在馨)[1838∼1900]은 청도군 금천면 출신으로, 정...
-
경상북도 청도군 각남면 사리에서 빨치산에 항거한 반공 투사. 박재환은 청도군 각남면 사리 마을의 경비 단장으로 있었는데, 1949년 7월 초순 순찰 도중 빨치산 2명을 만나 격투를 벌여 부상을 입혔으나 잡지 못하였다. 그 후 1950년 3월 9일 밤 9시경 국군 복장을 한 빨치산들이 마을에 나타나 경비원 전원을 박재환의 집에 집결시킨 뒤 무차별 총격을 가하고 집에 불을 질러 총 1...
-
일제 강점기에 활동한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박정근은 1923년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내호리(內湖里) 259번지에서 출생하였다. 1941년 항일 비밀 결사인 동진회(東進會)에 가담하여 농민회와 소년 독성회(少年獨成會)를 조직하여 회원으로 활동하였다. 박정근(朴丁根)[1923∼?]은 1941년 1월 27일 음력설을 맞이하여 청도군 청도면 유호동 출신의 20대 청년 이형우(...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박정찬은 1867년(고종 4)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대천리(大川里)에서 출생하여 1922년 사망하였다. 1919년 3월 18일 청도군 운문면 만세 운동에 참가하였다. 1919년 3월 18일 전개된 운문면 만세 운동은 문명 학교(文明學校) 졸업생 및 교사들이 주동하였다. 당시 문명 학교 졸업생 김상구(金相久)와 김종태(金鍾台)는 3월 1...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박종락은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우산리 181번지에서 출생하였다. 1944년 9월 일본군에 징병되었다가 1945년 1월 일본군을 탈출하여 1945년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광복군에 소속되어 활동하였다. 본관은 밀양. 청도군 각북면 우산리에 세거하던 박화조(朴和祚)의 후예이다. 박종락(朴鍾洛)[1924∼?]은 1937년 3월 풍각면 소재 풍각 공립...
-
고려 후기 청도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1353년(공민왕 2) 과거에 합격한 국간(菊磵) 박진록(朴晉祿)의 아들로 알려져 있으며, 밀양 박씨 12중조(中祖)의 한 사람이다. 박중미(朴中美)[?∼?]는 고려 충목왕(忠穆王) 때 등제하여 중서령(中書令)과 보문각(寶文閣) 대제학(大提學) 등을 역임했다. 1361년(공민왕 10) 홍건적이 국경을 건너와 괴수 모거경(...
-
임진왜란 때 청도 지역에서 활동한 의병.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인경(仁卿)·계애(溪厓). 할아버지는 소요당 박하담(朴河淡)이고, 아버지는 삼우정 박경신(朴慶新)이다. 어머니는 김려문(金麗文)의 딸 분성 김씨이다. 부인은 군수 박명세(朴命世)의 딸 정부인 함양 박씨이다. 박지남(朴智男)[1565∼1626]은 어릴 적부터 담략이 있고, 글씨와 칼 쓰기에 능했으며, 불의를 참지 못...
-
임진왜란 때 청도 지역에서 활약한 의병.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숙헌(叔獻), 호는 운옹(雲翁). 증조할아버지는 소요당 박하담(朴河淡)이며, 할아버지는 순릉 참봉 박영(朴潁)이다. 아버지는 공조 참의에 증직된 박경연(朴慶延)이고, 어머니는 부정 강경우(姜景愚)의 딸 진주 강씨이다.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이서면 수야리[수여현]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숙부인 고성 이씨이다. 박찬(...
-
조선 전기 청도 지역에서 활동한 의병.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현경(賢卿)이고 호는 운애(雲厓). 증조할아버지는 소요당 박하담(朴河淡)이고, 할아버지는 장사랑(將仕郞) 박이(朴頤)이며, 아버지는 삼우정 박경신(朴慶新)이다. 어머니는 김려문(金麗文)의 딸 분성 김씨이다. 선무원종공신 2등을 받은 박지남의 동생이다. 부인은 이장백(李長白)의 딸 월성 이씨이다. 박철남(朴哲男)[15...
-
1873년 경상도 청도군 중동면에 거주하고 있던 박취규의 호구 단자. 「박취규 호구 단자(朴聚奎 戶口 單子)」의 작성자는 해당 호(戶)의 호주인 박취규이다. 박취규는 본관이 밀양(密陽)이고, 직역(職役)이 유학(幼學)이며, 1817년[정축] 생으로 호구 단자를 제출하던 당시 57세였다. 경상도 청도군 중동면(中東面) 길부리(吉富里)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는데, 이곳은 지...
-
조선 후기 청도 출신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생만(生晩), 호는 경양재(景陽齋). 고려 봉익대부 밀직 부사 박양언(朴良彦)의 후손으로, 두촌 박양무(朴揚茂)의 10세손이며, 일청재 박호(朴虎)의 5세손이다. 할아버지는 박선장(朴宣章)이고, 아버지는 장릉 참봉(莊陵參奉) 박지현(朴之賢)이며, 어머니는 참봉 전유장(全有章)의 딸이다. 부인은 좌랑 배명윤(裵命胤)의 딸인 분...
-
조선 전기 청도 출신의 학자.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응천(應千), 호는 소요당(逍遙堂). 증조할아버지는 함양 군수를 지낸 박융, 할아버지는 소고공 박건이며, 아버지는 부사직(副司直)을 지낸 박승원(朴承元)이고, 어머니는 경절공 하숙부(河叔溥)의 딸 진주 하씨(晉州河氏)이다. 박하담(朴河淡)[1479∼1560]은 1516년(중종 11) 생원시에 합격하였으나, 그 뒤 여러 번 대...
-
조선 전기 청도 출신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성천(聖千), 호는 병재(甁齋)·서암(西巖). 아버지는 부사직(副司直)을 지낸 박승원(朴承元)이고, 어머니는 경절공 하숙부(河叔溥)의 딸 진주 하씨(晉州河氏)이다. 소요당(逍遙堂) 박하담(朴河淡)의 동생이다. 박하징(朴河澄)[1484∼1566]은 유아 때 어머니가 병이 들자 보채지 않고 젖도 빨지 않아 향리에서 유효(乳孝)라...
-
조선 전기 청도 지역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응도(應圖), 호는 성와(城窩). 송은(松隱) 박익(朴翊)의 현손이며, 박융(朴融)의 증손, 밀양 박씨 청도 입향조 박건(朴乾)의 손자이다. 아버지는 부사직(副司直)을 지낸 박승원(朴承元)이고, 어머니는 경절공 하숙부(河叔溥)의 딸 진주 하씨이다. 소요당 박하담(朴河淡)의 동생이자, 병재(甁齋) 박하징(朴河澄)의 형이다. 부...
-
조선 전기 청도 출신의 문신. 박한주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연산군 때 간관이 되어 왕의 실정을 극간하고 노사신·임사홍을 탄핵했다. 연산군의 횡포가 심해지자 외직으로 나갔으나, 무오사화 때 김종직(金宗直)의 문도(門徒)로 분류되어 유배를 당하였다. 갑자사화가 일어나자 다시 연루되어 군기시 앞에서 능지처참을 당하였다.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천지(天支), 호는 오졸재(迃拙齋)....
-
조선 전기 청도 출신의 문신. 박호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1546년(명종 1년) 식년 문과에 급제하여 이조 좌랑과 평해 군수(平海郡守)를 지냈다. 평해 군수 시절 친구가 중국에서 가져온 감나무를 얻어 고향에 가져와 재래종에 접을 붙였는데, 감이 씨가 없고 커서 ‘새월 반시’라 불렀다. 이 감이 오늘날 청도 전역으로 퍼져 청도의 명산물인 ‘청도 반시’가 되었다. 본관은 밀양(密陽...
-
현대 경상북도 청도 출신의 학자. 본관은 밀양(密陽). 호는 인암(忍庵). 아버지인 밀직 부사 자초(紫樵) 박정곤(朴珽坤)과 의흥 예씨 예대주의 딸과의 사이에서 태어났다. 조선 후기 영남 지역에서 노론 세력을 영도한 경양재(景陽齋) 박태고(朴太古)와 죽옹(竹翁) 박중채(朴重采)가 8대조와 7대조인 것에서 알 수 있듯이 대대로 기호 학맥을 계승한 집안이다. 박효수(朴孝秀)[1906∼...
-
경상북도 청도군 이서면에서 임종한 1996년 12월 31일부터 탈상한 1999년 2월 7일까지 거행되었던 박효수의 전통 장례. 유월장은 교통수단이 발달하지 못했던 때에 멀리까지 부음을 전하고 문상객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임종한 달의 그믐을 넘겨 장사(葬事)하는 장례이다. 흔히들 유림장(儒林葬)이라고도 한다. 유림장은 공덕, 사상, 덕행, 학행이 높은 선비에 대해 숭앙하는 의미로 유...
-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두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비석. 매전면 두곡리 두실 마을에 있는 장사랑 박후재(朴厚載)의 은덕을 기리고 기억하려는 비석이다. 장사랑 박후재가 흉년에 어려운 사람들을 구제하였고, 화재로 한꺼번에 64집이 불타자 백포대의 곡식과 100냥의 돈을 내어 구제한 은덕이 있었다. 청도 주민들은 이 은덕을 기려 기억하고, 후손들에게 전하기 위하여 이 비석을 세웠다. 비...
-
해방 이후 6·25 전쟁 기간까지 경상북도 청도군에서 발생한 반공 투쟁 사건. 1946년 5월 미소 공동 위원회의 협상 결렬, 대구 10·1 사건, 2·7 사건 등을 거치면서 남한 내 모든 좌익 세력들이 불법화되었다. 이에 남로당은 무장 게릴라 조직인 남조선 인민 유격대를 전국적으로 5개 유격 전구에 결성한다. 경주·영천·영일·양산·울산·동래·부산을 중심으로 한 영남 유격 지구에...
-
경상북도 청도에서 생산되는 청도 반시를 이용한 초콜릿. 2005년 감초롱 상사를 설립한 구성철 대표는 청도 반시를 이용한 특별한 상품을 고민하던 중 청도 반시를 이용해 초콜릿을 개발하기 시작했다. 많은 오류와 실패 끝에 2006년 본격적으로 감초콜릿을 생산하기 시작하여 소비자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기 시작했다. 감초콜릿은 씨 없는 청도 반시를 동결 진공 건조 공법을 거쳐 분말로 가...
-
경상북도 청도군 사암 연합회 소속 여성으로 구성된 불교 합창단. 청도 반야 합창단은 2000년 10월 10일에 찬불가 보급과 함께 음성 공양을 하기 위해서 창단되었다. 2000년 10월 10일에 창단하여 청도의 각 사찰 음성 공양 및 매년 개최되는 청도 유등제 음성 공양을 통하여 찬불가 보급에 앞장서고 있다. 특히 청도는 호국 불교의 성지로서, 삼국을 통일한 화랑정신의 발상지 운문...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반양환은 경상북도 청도군 이서면 구라동 158번지에서 출생하였다. 1944년 9월 일본군에 징병되었다가 1945년 3월 윤봉갑·김해득과 함께 일본군을 탈출하여 1945년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광복군 총사령부에서 활동하였다. 본관은 기성(岐城). 청도군 이서면 구라동에 세거하던 반예(潘汭)의 후예이다. 반양환(潘良煥)[1924∼?]은 1944년...
-
조선 전기 청도 출신의 문신. 본관은 기성(岐城). 자는 문보(文甫), 호는 옥계(玉溪). 시조 반부(潘阜)의 9세손으로, 아버지는 반조(潘慥)이다. 부인은 정경부인(貞敬夫人) 파평 윤씨이다. 반우형(潘佑亨)[?∼?]은 1469년(예종 1) 사마시 진사과에 합격하여 성균관에 입학하였다. 1472년(성종 3) 임금이 선정전에 나가서 문신과 성균관 유생들에게 글을 강론할 때 성균관 유...
-
조선 후기 청도 지역의 효자. 본관은 기성(岐城). 자는 헌옥(獻玉), 호는 종모재(終慕齋). 죽오(竹塢) 반국해(潘國海)의 6세손이다. 반환(潘瓛)[1767∼1829]은 효성이 지극하여 어머니가 돌아가시자 15.7㎞나 떨어진 두곡산(杜谷山)에 묘소를 모시고, 3년 동안 매일 성묘를 하였으며, 이어 아버지가 돌아가시자 역시 두곡산에 묘소를 모시고 여막(廬幕)을 치고 조석으로 시전(...
-
조선 후기 청도 출신의 의병. 본관은 기성(岐城). 호는 양헌(陽軒). 증조할아버지가 옥계(玉溪) 반우형(潘佑亨)이다. 반효홍(潘孝泓)[?∼1592]은 1592년 4월 13일 부산을 침입한 왜군들이 4월 20일에 쉽게 청도 읍성을 함락하자, 청도 조전장 박경신과 함께 의병이 되어 싸웠다. 청도읍성이 쉽게 함락된 것은 군수 배응경(裵應褧)이 경상도 순찰사(巡察使) 김수와 함께 대구와...
-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마일리에서 영천시 북안면 상리로 넘어가는 고개. 밤재는 청도군 운문면에서 영천시로 넘어가는 두 개의 고개 중 하나이다. 마일리의 신당 마을에서 북쪽 계곡을 오르면 밤재에 이르고, 북동쪽 괴틀 마을에서 오르면 오두재에 도달한다. 고개 근처에 밤나무가 많아 밤재라 불렀다. 밤재는 사룡산[685.0m]과 구룡산[674.8m]의 사이에 있는 고개 중의 하나이다. 운...
-
경상북도 청도군 각남면 사리에서 청도읍 상리로 넘어가는 고개. 밤티재는 각남면에 바로 청도읍으로 가는 유일한 고개이며, 넘으면 바로 한재[大峴]이다. 고개로 오르는 계곡이 동서 방향이라 곡풍이 강하고 일교차가 심하여 농작물 재배가 어려워 밤나무를 많이 심었다. 이로 인해 고개 주변에 밤나무가 많아 밤티재라 불렀다. 한문으로 율령(栗嶺)으로 표기하기도 하는데, 과거에는 청도군 상리와...
-
경상북도 청도군 각남면 사리에서 청도읍 상리로 넘어가는 고개. 밤티재는 각남면에 바로 청도읍으로 가는 유일한 고개이며, 넘으면 바로 한재[大峴]이다. 고개로 오르는 계곡이 동서 방향이라 곡풍이 강하고 일교차가 심하여 농작물 재배가 어려워 밤나무를 많이 심었다. 이로 인해 고개 주변에 밤나무가 많아 밤티재라 불렀다. 한문으로 율령(栗嶺)으로 표기하기도 하는데, 과거에는 청도군 상리와...
-
경상북도 청도군에서 방아를 찧으면서 부르는 노래. 「방아 타령」은 경상북도 청도군에서 방아를 찧거나 절구질을 하면서 부르는 가내 노동요이다. 1991년 청도군에서 발간한 『청도 군지』에 수록되어 있다. 농가에서 방아를 찧는 일이 여성의 몫이었기 때문에 가내 노동요인 「방아 타령」은 주로 여성들에 의해서 많이 가창되었다. 여성들은 고된 노동을 사설과 가락에 에 담아 잊고자 하였으며,...
-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방음리에 있는 공원. 1972년 3월 24일 박정희 전 대통령이 이 마을을 찾아 새마을 운동 선진 마을로 격찬한 역사적 사실을 기념하기 위해서 현재 문명 교육 재단 홍영기 이사장이 1989년 3월 건립하였다. 박정희 전 대통령의 방문으로 새마을 운동 시발점으로 알려져 있는 방음리의 수몰을 안타깝게 여겨 홍영기 이사장이 1989년 3월 사비로 건립하였다. 이후...
-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에 속하는 법정리. 말음(末音), 안 말음, 묵방(墨方), 정상 등의 자연 부락을 합해서 1914년에 개설되었다. 1872년의 지도에는 말음동(末音洞)으로 기록되어 있다.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것은 묵방(墨坊)에서 ‘방’ 자와 말음(末音)에서 ‘음’ 자를 따서 방음이 되었다. 1720년에는 동이위면(東二位面)에 속해 있었으며, 1832년에는 이위면에...
-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방지리에 있었던 공립 초등학교. 새로운 생각과 참된 인재 육성을 위하여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어린이[Mind Up], 새로운 생각을 끊임없이 탐구하는 어린이[Think Up], 소질과 잠재력을 계발 신장하는 어린이[Dream Up]를 교육 목표로 했다. 교훈은 꿈을 갖고 슬기롭게 자라는 방지 학생이다. 1954년 4월 14일에 금천 국민학교 방지 분교로 개...
-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분교장. 새로운 생각과 참된 인재 육성을 위하여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어린이[Mind Up], 새로운 생각을 끊임없이 탐구하는 어린이[Think Up], 소질과 잠재력을 계발 신장하는 어린이[Dream Up]를 교육 목표로 정하고 있다. 교훈은 ‘꿈을 갖고 슬기롭게 자라는 방지 학생’이다. 금천 초등학교 문명 분교장은 1906년...
-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방지리에서 해마다 정월 대보름에 올렸던 마을 공동 제의. 청도군 금천면 방지리의 중방지 마을에서는 1980년 무렵까지는 매년 정월 대보름[음력 1월 15일]이 되면 마을의 도로변에 있던 보호수에 마을의 평안무사와 풍년을 기원하며 동제를 올렸다. 방지리 중방지 동제를 언제부터 올렸는지는 알 수 없다. 다만 주민들의 입으로 전하는 말로는 마을이 정착할 때부터 시...
-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방지리에 있는 수령 약 280년의 회화나무. 회화나무는 수평적으로는 남해안부터 함경북도에 이르는 각 지역, 수직적으로는 남쪽에서는 표고 600m 이하, 북쪽에서는 400m 이하에 분포해 있다. 콩과에 속하는 낙엽 교목으로 흔히 마을 근처에 심는다. 한국은 행운의 나무, 중국은 출세의 나무, 서양에서는 학자의 나무라고 소중히 여긴다. 방지리 회화나무의 수령은...
-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에 속하는 법정리. 금천면과 운문면 경계선에 위치한 마을로서 상방지와 하방지가 합쳐서 방지리가 되었다. 방지리는 방마루, 방말, 방지라 불리며 상방지와 하방지가 합쳐서 방지리가 되었는데, 옛 이름이 방지라고 하는 곳에는 못[저수지]가 생긴다는 전설이 있던 곳으로 지금은 운문댐이 생겨 선조들의 예언이 적중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는 마을이다. 동창천변의 자갈과 모래...
-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에 속하는 법정리. 원래는 금천면 방지리였다. 1995년 운문댐 건설과 함께 수몰민들이 이주하여 세운 이주 단지가 형성하면서 금천면 방지리를 나누어 운문면 방지리로 삼은 곳이다. 저수지가 있는 곳은 대부분 한자로 방지(防池)라고 표기하였으나, 일제 강점기에 마을 이름을 표기하면서 방지(芳旨)라고 했다. 조선 시대에는 중동면에 속했으며 당시 상방지(上芳池)와 하...
-
경상북도 청도군 일대에서 생산되는 배나무 속 배나무의 열매. 우리나라에서는 삼한 시대부터 배나무를 재배한 기록이 있으며, 한말에는 황실배·청실배 등의 품종을 널리 재배하였다. 일제 강점기에는 장십랑과 만삼길을 재배하였고 새로운 품종인 신고 등이 보급되었다. 통계청 기록에 따르면 청도군의 배는 1960년 4가구에서 0.06㎢ 규모로 배를 재배한 것으로 나타났다. 1970년대 이후 점...
-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남양리에 있는 정효각.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남양리 1900-5에 위치한다. 당호리에서 신지리 방향의 지방도 919호선을 따라 가다 우측에 있는 골마 마을에서 안골 마을로 통하는 도로변에 있다. 배세중(裵世重)의 효행을 칭송하기 위해 분성 배씨 문중에서 1737년 건립하였다. 정효각은 단칸[單間] 규모의 맞배 기와집이다. 주위에는 붉은 벽돌로 방형의 담장을...
-
조선 전기에 청도 군수를 지낸 문신. 배응경은 조선 전기 문신으로, 청도 군수로 재직하던 중 임진왜란을 만나 의병들과 함께 청도를 수복하는 전과를 올렸다. 본관은 성산(星山). 자는 회보(晦甫), 호는 안촌(安村). 할아버지는 증 형조 참의 배유(裵裕)이고, 아버지는 훈도(訓導) 배무선(裵茂先)이다. 어머니는 서산 정씨(瑞山鄭氏)로 제릉 참봉(齊陵參奉) 희장(希章)의 딸이다. 배응...
-
조선 후기에 청도 지역에서 판각된 『배자예부 운략』의 신·구 판목. 『예부 운략(禮部 韻略)』은 학문을 연구하는 기초 사전으로서 송(宋)·원(元)대부터 우리나라에 수입해온 음운 고사 전류(音韻 考辭 典類)이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예부 운략』은 1300년(충열왕 26)에 발행한 해계 서원판(海溪 書院版)이다. 그러나 이는 중국에서 간행된 판목으로 추측되고, 1524년(중종...
-
고려 후기 청도 지역의 향리(鄕吏). 본관은 청도(淸道). 청도 5대 토성 중의 하나였던 청도 백씨 가문 출신이다. 백계영(白桂英)[?∼?]은 고려 후기 청도 호장(戶長) 출신이다. 1270년(원종 11) 몽고와 강화를 맺은 고려 정부가 개경으로 돌아가 삼별초를 해산하려 하자 배중손을 필두로 한 삼별초가 저항하며 별도의 정부를 구성하였는데, 이때 몽고군에 항복을 원치 않던 많은 군...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토평리와 이서면 고철리에 있는 토성. 백곡산성(栢谷山城)은 고대 이서국의 왕성으로 알려져 있다. 백곡 마을을 감싸고 있는 해발 100∼120m의 구릉 남쪽 부분에 만들어져 있으며, 토루는 길이 200여 m에 이르고 높이 1∼3m, 폭 2∼3m를 이루기도 하나 대부분 경작에 의해 삭평되거나 밭둑으로 이용되고 있다. 주변에는 연질 토기 조각을 비롯하여 5∼6세기...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토평리와 이서면 고철리에 있는 토성. 백곡산성(栢谷山城)은 고대 이서국의 왕성으로 알려져 있다. 백곡 마을을 감싸고 있는 해발 100∼120m의 구릉 남쪽 부분에 만들어져 있으며, 토루는 길이 200여 m에 이르고 높이 1∼3m, 폭 2∼3m를 이루기도 하나 대부분 경작에 의해 삭평되거나 밭둑으로 이용되고 있다. 주변에는 연질 토기 조각을 비롯하여 5∼6세기...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토평리에 있는 서당. 김해 김씨 선조 9위의 위패를 봉안하기 위해 건립한 서당이다.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토평리 76에 위치한다. 백곡리 경로 회관 정면에 있는 길을 따라 백곡 마을의 배산 방향으로 약 130m 정도 이동하면 길 우측에 있다. 김해 김씨 선조 9위의 위패를 봉안하기 위한 세덕사로 1842년 건립하였다. 1868년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되었던...
-
경상북도 청도 지역을 포함한 백두 대간 지역 연계를 통한 고부가가치의 식품과 의약품을 중점적으로 개발하는 사업. 백두 대간 그린마인 비즈니스는 청도, 김천, 상주 등 경상북도 도내 7개 시·군과 강원도 내 4개 시·군을 비롯해 대구 한의 대학교, 경북 바이오 산업 연구원 등 8개 연구 기관과 대원 제약 등 18개 기업이 참여하는 광역 경제권 연계 협력 사업이다. 2014년까지 31...
-
경상북도 청도군에서 백일 날 경문을 외우는 주술적 행위. 과거에 아이가 태어난 지 백일이 되는 날이나 돌이 되면 아이가 병이 없이 잘 크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백 가지 액이 침범하지 못하게 방과 부엌에서 경문을 외우는데. 이를 백살경(百殺經)이라고 한다. 이러한 백살경 외우기는 현재 청도 지역에서 일반적으로 행해지지 않고 있다. 자식의 백일이나 돌이 되면 그 귀한 자식의 무병장수를...
-
조선 후기 청도 군수를 지낸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백야(白也). 거주지는 한양이다. 아버지는 이석령(李錫齡), 할아버지는 이유한(李維漢), 증조할아버지는 이상연(李尙淵)이다. 어머니는 황응로(黃應老)의 딸이며, 부인은 서종제(徐宗悌)의 딸이다. 이중인(李重寅)의 형이다. 이중경(李重庚)[1680∼?]은 23세이던 1702년(숙종 28) 사마시 진사과에 합격하였고, 48...
-
일제 강점기 청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백영진은 1924년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내호리(內湖里) 516번지에서 출생하였다. 1941년 항일 비밀 결사인 동진회(東進會)에 가담하여 농민 친목회(農民親睦會)와 소년 독성회(少年獨成會)를 조직하여 회원으로 활동하였다. 백영진(白泳珍)[1924∼?]은 1941년 1월 청도군 청도면 유호동에서 조직된 동진회에 가담하여 회원으로 활동하...
-
개항기 청도 출신의 학자.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백옹(伯翁), 호는 진계(進溪), 초명은 박재성(朴在誠). 할아버지는 박정주(朴廷周)이고, 증(贈) 좌승지 박시묵(朴時默)과 사헌부 지평 이병영(李秉瑩)의 딸 숙부인 경산 이씨(京山李氏)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처는 군수 이박상(李博祥)의 딸 여강 이씨이다. 박재형(朴在馨)[1838∼1900]은 청도군 금천면 출신으로, 정...
-
조선 전기 청도 출신의 문신. 본관은 김해. 자는 백운(伯雲), 호는 동창(東窓). 아버지는 사헌부 집의를 지낸 김맹(金孟)이고, 할아버지는 청도 효자로 널리 알려진 김극일(金克一)이며, 증조할아버지는 김서이다. 어머니는 이양(李讓)의 딸 용인 이씨이며, 부인은 첨정을 지낸 고태익(高台翼)의 딸 제주 고씨이다. 아우인 김기손(金驥孫)·김일손(金馹孫) 등이 모두 문과 출신이며, 청도...
-
조선 전기 청도 운문산에서 은거한 문신. 본관은 현풍(玄風). 자는 백유(伯瑜), 호는 경재(警齋). 아버지는 사재감 첨정 곽수녕(郭遂寧)이고, 어머니는 김철단(金哲端)의 딸이다. 할아버지는 곽효원(郭孝元), 증조할아버지는 곽성기(郭成己)이다. 부인은 정언수(鄭彦脩)의 딸이다. 곽순(郭珣)[1502∼1545]은 1524년(중종 19) 사마시에 합격하고, 1528년(중종 23) 27...
-
조선 전기 청도 출신의 무신. 본관은 재령(載寧). 자는 백응(伯應). 아버지는 어모장군(禦侮將軍) 행가리포첨사(行加里浦僉使)를 지낸 이우(李友)이다. 이몽상(李夢祥)[1530∼?]은 31세 되던 해인 1560년(명종 15)에 충순위(忠順衛) 신분으로 무과 시험에 장원을 하였고, 여러 관직을 거쳐 부사를 역임했다. 경상북도 청도군 종도면(終道面)[현 매전면] 정촌(井村)에 살았다....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범곡리에 있는 자연 폭포. 청도의 진산(鎭山)인 남산(南山)의 중턱에 있는 높이 30m의 폭포로 청도 팔경 중의 하나이다. 낙대 폭포가 있는 주변 계곡이 범곡이라 불리며 범곡 폭포라고도 불리지만, 예로부터 신경통에 효험이 있다고 하여 약수 폭포(藥水瀑布) 또는 낙대 약폭이라고도 불린다. 남산 깊은 계곡의 울창한 나무들이 숲을 이룬 가운데 깎아지른 듯 한 절벽...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에 속하는 법정리. 청도군청이 위치하며 청도군에서 인구밀도가 가장 높은 중심 지역이다. 학교를 비롯한 행정 및 교육 중심지이자 아파트 및 주거 단지가 밀집한 곳이다. 옛 기록에 따르면 이곳이 적도라고 불린 적도 있으며, 문익점이 귀양살이를 와서 이곳의 군수를 지냈다는 말이 전한다. 동상리 동편에 자리잡은 범곡 1리는 범실이라고 불려지고 있으며 범곡(凡谷)이라고...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범곡리 폭포골에 있는 바위 새김글. 화양읍 범곡리 폭포골에 있는 새김글로 장방형의 자연 바위에 음각되어 있다. 어느 시대에 누구에 의해서 새겨졌는지는 알 수 없다. 새김글이 있는 바위 옆에 있는 화산정(華山亭)과 관련이 있다고도 한다. 대웅사 옆에 있는 화산정은 1923년 당시의 청도 군수인 주재영(朱載榮)이 건립한 것을 청도의 유림이 구입하였으며, 1935...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범곡리에 있는 삼국 시대 고분 떼. 범곡리 고분 떼는 청도 초등학교 뒤편에 있는 송전지 서남쪽의 나지막한 구릉 정상부를 비롯한 남쪽의 과수 일대에 위치한다. 대부분이 도굴되었으며, 잔존 상태로 보아 석곽묘로 추정하였다. 그리고 주변 일대에서 굽다리 접시 조각, 굽다리 목 긴 항아리 조각, 큰 항아리 조각 등이 발견되었다. 범곡리 고분 떼는 청도읍 소재지에서...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범곡리에 있는 삼국 시대 고분 떼. 범곡리 고분 떼는 청도 초등학교 뒤편에 있는 송전지 서남쪽의 나지막한 구릉 정상부를 비롯한 남쪽의 과수 일대에 위치한다. 대부분이 도굴되었으며, 잔존 상태로 보아 석곽묘로 추정하였다. 그리고 주변 일대에서 굽다리 접시 조각, 굽다리 목 긴 항아리 조각, 큰 항아리 조각 등이 발견되었다. 범곡리 고분 떼는 청도읍 소재지에서...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범곡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무덤 떼. 고인돌은 거대한 돌을 이용해 만든 청동기 시대 거석 건조물의 일종이다. 주로 무덤으로 쓰이고 있지만 공동 무덤의 무덤 표지석 혹은 제단이나 기념물로 사용된 것도 있다. 청도 초등학교에서 북쪽으로 100여 m 떨어진 솔숲 일대에 있다. 청도 범곡리 지석묘군이 있는 곳은 청도읍과 화양읍의 남쪽에 있는 산...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범곡리 폭포골에 있는 바위 새김글. 화양읍 범곡리 폭포골에 있는 새김글로 장방형의 자연 바위에 음각되어 있다. 어느 시대에 누구에 의해서 새겨졌는지는 알 수 없다. 새김글이 있는 바위 옆에 있는 화산정(華山亭)과 관련이 있다고도 한다. 대웅사 옆에 있는 화산정은 1923년 당시의 청도 군수인 주재영(朱載榮)이 건립한 것을 청도의 유림이 구입하였으며, 1935...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범곡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무덤 떼. 고인돌은 거대한 돌을 이용해 만든 청동기 시대 거석 건조물의 일종이다. 주로 무덤으로 쓰이고 있지만 공동 무덤의 무덤 표지석 혹은 제단이나 기념물로 사용된 것도 있다. 청도 초등학교에서 북쪽으로 100여 m 떨어진 솔숲 일대에 있다. 청도 범곡리 지석묘군이 있는 곳은 청도읍과 화양읍의 남쪽에 있는 산...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범곡리에 있는 수령 약 260년의 팽나무. 팽나무는 느릅나무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 교목이다. 원산지는 한국으로 중국·일본·대만·베트남·라오스·태국 등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에는 함경북도 이외의 전국에 분포하는데, 주로 경상도와 전라도의 표고 50∼1,100m 지역에 분포한다. 팽나무는 수명이 길고, 굵은 가지가 잘 뻗어 웅장한 수관(樹冠)을 만들고, 뿌리 뻗음...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범곡리에 있는 수령 약 260년의 팽나무. 팽나무는 느릅나무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 교목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