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200537 |
---|---|
한자 | 琴隱 實記 |
영어공식명칭 | Geumeunsilgi |
이칭/별칭 | 『금은 선생 실기(琴隱先生實記)』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문헌/전적 |
지역 | 경상남도 함안군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김익재 |
[정의]
1939년에 간행된 함안 출신의 문신이자 학자인 조열과 관련된 기록을 적은 문집.
[저자]
조열(趙悅)[?~1939]의 본관은 함안, 호는 금은(琴隱)이다. 아버지는 판도판서(判圖判書)를 지낸 조천계(趙天啓)이다. 거문고와 그림에 능하였다. 운구 서원(雲衢書院)에 제향되어 있다.
[편찬/간행 경위]
『금은 실기(琴隱實記)』는 고려 말기에 벼슬하였던 조열이, 조선 조에 와서도 절개와 지조를 굽히지 않으면서 태조이성계와 정종의 요청을 거부했던 여러 가지 사실들을 상세히 기록한 자료이다. 전쟁을 겪으면서 많은 자료가 없어지고 남은 것이 얼마 없지만, 더 이상의 손실을 막기 위해 조현규(趙顯奎)를 비롯한 후손이 힘을 모아 1939년에 간행하였다. 서문은 김녕한(金寗漢)이 썼다. 『금은 선생 실기(琴隱先生實記)』라고도 불린다.
[형태/서지]
2권 1책의 목판본이다. 상 일엽 화문 어미(上一葉花紋魚尾)이며, 크기는 가로 20.1㎝, 세로 29.9㎝이며, 반곽의 크기는 가로 15.2㎝, 세로 20.0㎝이다. 1면 9행에 1행의 자수는 16자이다. 주(註)는 쌍행(雙行)이다. 권수제는 '금은 실기(琴隱實記)', 판심제는 '금은 선생 실기(琴隱先生實記)'로 되어 있다. 국립 중앙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구성/내용]
권1에는 여러 사람이 함께 지은 시(詩) 「합잠 연구(盍簪聯句)」 1수가 있고, 부록으로 이오(李午)가 쓴 만시(挽詩), 이채(李采)가 쓴 신도비명, 20세손 조덕래(趙德來)가 쓴 비음기(碑陰記), 하겸진이 쓴 묘갈명(墓碣銘) 및 척록(摭錄)과 「운구 서원 사실(雲衢書院事實)」, 「답삼가 유림서(答三嘉儒林書)」, 서원 봉안 때의 고유문(告由文), 봉안문(奉安文), 상향 축문(常享祝文), 이문룡(李文龍)이 지은 「서원 강당 상량문(上樑文)」 등이 실려 있다. 권2에는 후손 조찬규(趙纘奎)가 쓴 「신도비각 이건 개기축문」, 후손 조성탄(趙性坦)이 쓴 「신도비 이건 고유문」, 권재규(權載奎)가 쓴 「원북 재중수기」, 21세손 조현규(趙顯珪)가 쓴 「원북 재중건 상량문」, 「두문동 서원 사실」, 서원 개기축문, 서원 상량문, 봉안문, 상향문, 향례 의절 등이 실려 있다.
[의의와 평가]
『금은 실기』에는 조열이 직접 쓴 글이 수록되어 있지는 않으나, 조열과 관련된 여러 가지 사실을 기록한 자료를 바탕으로 여말 선초의 정권 교체기에 활동하면서 지조를 지켰던 관료이자 선비의 한 전형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크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