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청도 정월 대보름 민속 문화 축제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500016
한자 淸道正月大-民俗文化祝祭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기획)
지역 경상북도 청도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재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6년 2월 - 청도 정월 대보름 민속 문화 축제, 달집태우기 복원 및 정월 대보름 행사 시행
행사 장소 청도천 둔치 -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고수리지도보기

[전국 최대 규모의 달집을 세우다]

2012년 청도군은 2월 6일 청도천 둔치에서 군민의 안녕과 화합을 도모하고 풍년을 기원하는 청도 정월 대보름 민속 문화 축제를 개최하였다. 청도군에서는 매년 보름달이 뜨는 시각에 맞춰 전국 최대 규모의 달집을 짓고, 달이 떠오르는 시간에 맞추어 달집을 태웠다. 청도군의 정월 대보름 달집은 전국 최대 규모라는 점에서 일찍이 주변에서 많은 관심을 끌어 왔는데, 2012년 달집 또한 높이 20m, 폭 15m로 전국 최대 규모를 자랑했다.

청도군의 달집은 달집 짓기 전승 보존회가 제작한다. 달집 짓기 전승 보존회는 아홉 개 읍·면에서 각각 청도천으로 모아 온 솔가지와 볏짚, 버팀목으로 달집 제작에 나선다. 달집은 솔가지 250톤과 볏짚 200단이 필요하며, 버팀목만 해도 최소 150여 개가 들어간다. 달집 짓기 전승 보존회 회원들은 수송에만 이틀이 걸리는 솔가지 전량을 이용하여 대보름 전날까지 단 나흘 만에 버팀목 세우기와 솔가지 엮기 작업을 마치게 된다. 이 작업을 위하여 군내 마을마다 주민들이 야산 등에서 직접 솔가지를 모으는 수고를 아끼지 않으며, 자원 봉사자를 포함하여 달집 짓기 전승 보존회 회원 약 500여 명이 투입된다. 이렇게 전국 최대 규모의 달집을 제작하는 배경에는 읍·면마다 솔가지를 가져와 큰 달집을 짓는 과정을 통하여 군민의 화합을 도모하려는 목적이 담겨 있다.

청도군의 달집은 매년 조금씩 그 크기를 키워 가고 있는데, 2003년 달집은 밑지름 10m에 높이는 18m 정도로 2012년의 것보다는 조금 줄어든 크기이다. 사실 달집의 높이는 그리 간단하게 올릴 수 있는 게 아니다. 높이 쌓는 것은 어렵지 않지만 쌓은 달집을 태우는 과정에서 한쪽으로 무너져 내리지 않게 하는 것은 상당한 기술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청도군의 달집은 단순히 크기만 중요한 것이 아니라 달집을 태우는 과정까지 고려하여 기술적으로 쌓고 있다는 점에서 매년 전국의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이다.

전국 최대 규모의 달집은 솔가지를 나르는 트럭과 솔가지를 잇는 데에 쓰는 크레인만으로는 완성되지 않는다. 이를 담당하는 달집 짓기 전승 보존회 회장은 달집을 만들기 보름 전부터 몸과 마음을 깨끗이 하는 노력을 행한다. 섣달그믐으로 접어들면 돌잔치나 초상 등 일체의 외부 활동을 하지 않으며, 아침저녁으로 목욕재계하여 몸을 깨끗하게 한다. 이러한 노력은 참여하는 회원과 군민도 마찬가지다. 일부 군민은 달이 뜨는 방향으로 고사를 지내며 달집이 무사하게 만들어지기를 빌며, 달집을 위한 목재를 준비한다. 버팀목으로 사용하는 굵은 낙엽송에서부터 달집의 속을 채우려고 가지치기한 복숭아나무, 사과나무 등 여러 종류의 목재가 동원되어 달집이 만들어진다.

준비한 목재는 먼저 버팀목을 이용해 달집의 기본 뼈대를 세운다. 버팀목 하나를 중심에 박고 나머지 20여 개를 원 모양으로 빙 둘러 주변에 늘어세운다. 각 버팀목들은 붙임대와 버팀목을 이용해 3층 높이로 엮고 고깔모자 모양의 골격으로 완성해 낸다. 그리고 밑에서부터 짚과 솔가지, 가지치기한 나무 등을 채워 나가면 달집이 완성된다.

[풍년을 부르는 연기와 악귀를 물리치는 소리]

청도군의 달집에는 겉으로 드러나는 규모 이외 여러 이야기가 숨어 있다. 지지대를 만들고 내부 솔가지를 채울 때 중간 30여 개의 대나무를 박아 둔다. 전체적으로 내부 곳곳에 박힌 소나무는 달집을 태울 때 탕탕거리는 요란한 소리를 내며 타는데, 이를 두고 군민들은 이 소리가 잡귀를 물리쳐 준다고 생각한다.

또한 달집 내에 솔가지를 많이 채워서 연기가 많이 오르도록 한다. 실제로 매년 달집을 태울 때마다 주변으로 솔가지의 향기를 품은 연기가 먼저 올라 멀리서도 청도군의 달집태우기를 바라볼 수 있을 정도라고 한다. 이렇게 연기가 많이 피워 오르게 하는 이유는 달집태우기 연기가 뭉게구름을 형성하며 하늘을 오르면 풍년이 든다고 믿기 때문이다. 뭉게구름을 형성하며 올라가는 연기와 주변을 압도하는 연기를 두고 이를 관람하는 사람들은 우스갯소리로 “부산 시장한테서 전화 왔다고 하더라, 청도군 달집태우기 연기 때문에 코가 맵다고.”라는 말을 하면서 박장대소하기도 한다.

달집의 꼭대기에는 청도군의 아홉 개 읍면을 상징하는, 잎 달린 대나무 아홉 개를 꼽는다. 완성된 달집의 옆에는 달집 규모의 절반 정도인 별집도 세운다. 별집은 달이 뜨기 30분 전에 흥을 돋우려는 것으로 청도군에서 볼 수 있는 독특한 달집 중 하나이다.

달집의 아래에는 달의 기운을 받는 달문을 내는데, 이는 대보름의 보름달이 첫 모습을 나타낸다고 하는 서글산[269m]을 향해 만든다. 달문은 너비 1m, 높이 2m 크기의 입구로, 나중에 불을 붙일 때 달집의 중심까지 이어지는 통로 역할을 한다. 달문을 내는 것은 달집의 점화를 쉽게 하려는 용도이지만, 달집에 소원을 비는 사람과 액운을 보내는 사람들에게는 무엇보다도 달집에 가까이 갈 수 있는 장소이기도 하다. 실제로 달집 주변으로는 가족과 개인의 소원을 적은 소원지를 적어 걸어 두는데, 달문의 내부에는 수많은 뭉치의 비닐봉지 또는 종이들이 가득하다. 달집에 좀 더 가까이 가서 자신의 액운을 보내려는 사람들이 자신의 속옷 또는 물품 등을 달문에 던지는 풍경도 볼 수 있다. 특히 삼재(三災)가 닥친 사람들은 이 달문에 자신의 속옷을 넣고 태우게 되면 삼재를 피할 수 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면서 전국의 수많은 사람이 청도군의 달집과 달문에 자신의 물건들을 던져 넣고 있다.

청도군의 기관장들은 한국 천문 연구원이 밝힌 공식적인 달 뜨는 시간에 맞추어 점화봉을 달문으로 넣는다. 점화봉이 들어가고 나서 얼마 지나지 않아 달집은 내부에서부터 풍년을 불러오는 연기를 내뿜고 대나무를 태우는 요란한 소리로 악귀를 물리치며 그 위세를 더하게 된다.

[매년 3만 명이 찾는 관광 상품]

청도 정월 대보름 민속 문화 축제는 매년 3만 명 이상이 찾는 청도군의 대표적인 관광 상품이 되었다. 청도군뿐만 아니라 경상북도의 많은 주변 시군에서도 음력 1월 15일을 맞이하여 다채로운 행사를 벌이고는 있지만, 청도군의 정월 대보름 행사는 가까이에 있는 대구광역시에서부터 저 멀리 충청도에 이르기까지 전국적으로 관광객이 찾아오는 대표 행사로 자리매김하였다. 2012년 행사 때에도 행사장 주변으로 다양한 먹거리 행사와 함께 민속 예술단 공연, 세시 음식 나눠 먹기, 소원글 써 주기, 연날리기, 윷놀이 등 온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다채로운 전통 문화 체험의 장이 열렸다.

청도 정월 대보름 민속 문화 축제가 처음부터 매년 3만 명 이상 찾는 대표적 행사로 자리매김한 것은 아니다. 일찍이 청도를 비롯한 우리나라 마을들은 비록 규모는 다르더라도 정월 대보름에 달집태우기를 대부분 행하였다. 달집태우기는 악귀를 물리치고 풍년을 부르는 믿음을 담고 있기도 하지만 마을의 위세를 외부로 알리는 풍속이기도 하였다. 이에 마을에서는 자신들의 경제력과 단합된 힘을 과시하고자 보다 큰 달집을 세우려는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하지만 1960년대 후반 산림녹화 정책과 산불 방지 등을 이유로 달집태우기는 민속촌 등 공식적인 장소 이외에는 금지되었고 대부분의 마을과 마찬가지로 청도군 또한 1960년대 마을 곳곳에서 소규모로 행하던 달집태우기를 중단하였다.

달집태우기의 금지는 약 30여 년 동안 지속되었는데, 1996년에 청도군에서 달집 짓기 전승 보존회가 구성되면서 1997년 2월 22일에 정월 대보름 달집태우기 행사를 시행하였다. 이후로는 지속적으로 달집 짓기 기능을 알려가면서 2013년 현재까지 전국에서 가장 큰 규모의 달집을 계속 만들어 감으로써, 청도 정월 대보름 민속 문화 축제가 많은 사람이 찾는 관광 상품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게 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