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501851
한자 鳶-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놀이/놀이
지역 경상북도 청도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석대권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놀이 장소 연날리기 - 경상북도 청도군
성격 민속놀이
노는 시기 음력 12월|정초|정월 대보름
관련 의례 행사 청도 정월 대보름 민속 문화 축제

[정의]

경상북도 청도군에서 주로 겨울철에 바람을 이용하여 연을 하늘에 띄우며 즐기는 민속놀이.

[개설]

연날리기 는 종이에 대나무로 만든 살을 붙여 실에 매단 후 바람을 이용해 하늘에 띄우는 놀이이다. 음력 12월부터 시작하는데, 특히 정초부터 정월 대보름 사이에 연날리기가 성행한다.

[연원]

연날리기 에 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삼국사기(三國史記)』 열전 김유신 조에서 찾아 볼 수 있다. 647년에 선덕 여왕비담(毗曇)염종(廉宗)이 반란을 일으켰는데, 김유신 장군이 반란군을 평정하기 위해 연을 만들어 전략적으로 이용했다는 내용이 있다. 이런 내용으로 보아 연날리기가 원래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되었고, 특정한 시기에 연을 날린 것이 아니라 군사적으로 필요할 때 날렸을 것으로 짐작된다. 그러다가 점차 연날리기를 오락으로 삼게 되고, 그것이 민속과 결합되면서 연을 날리는 시기가 고정된 듯하다.

[놀이 도구 및 장소]

종이와 대나무로 연을 만들고 면실로 끈을 만들어 연 자위에 감아 바람이 불면 하늘에 띄워 날린다. 장소는 언덕이나 바람이 잘 부는 논밭의 넓은 곳이면 된다.

연의 종류는 연의 형태와 문양에 따라 분류되며 방패연, 가오리연 등 그 종류가 100여 종에 이른다. 형태면에서 한국 연의 대표 격이라 할 수 있는 사각 장방형의 중앙에 방구멍이 뚫려 있는 방패연이 대부분을 이룬다. 또 어린이들이 날리는 꼬리가 달린 가오리연이 있고, 사람·동물 등 제작자의 창의성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만드는 창작연이 있다.

[놀이 방법]

종이에 가는 대나무 가지를 붙여 연을 만들고, 얼레에 감은 실을 연결한 다음 날리며 논다. 높이 날리기 경쟁을 하기도 하지만 연줄에 사기 가루나 쇠 가루를 섞은 풀을 먹여 강하게 만든 후 연줄을 끊는 연싸움을 하기도 한다. 정월 대보름이 되면 연에 나쁜 액을 실어서 멀리 날려 보낸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정월 대보름날 에는 연에다 ‘액(厄)’자를 쓰거나 ‘송액(送厄)’ 혹은 ‘송액영복(送厄迎福)’이라는 글을 쓴 후, 자기의 생년월일과 성명을 적어 연을 날려 보내 액을 막고 복을 기원하였다.

[현황]

연날리기 는 어린이들의 겨울철 운동과 취미 활동으로 더할 나위 없이 좋아 청도군의 풍각면, 각북면, 이서면 등 전역에서 연날리기를 했다. 2013년 현재는 청도천 둔치에서 매년 개최되는 청도 정월 대보름 민속 문화 축제 때 달맞이 행사의 하나로 민속 연날리기 대회가 열린다. 높이 날리기, 멀리 날리기, 창작연 날리기 등의 분야로 나뉘어 펼쳐지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