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200801 |
---|---|
한자 | 權錫燾 |
영어공식명칭 | Gwon Seokdo |
이칭/별칭 | 권명구,윤일이 |
분야 |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경상남도 함양군 |
시대 | 근대/개항기,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김동석 |
출생 시기/일시 | 1880년 9월 9일 - 권석도 출생 |
---|---|
활동 시기/일시 | 1907년 12월 - 권석도, 박인환 의병진에 합류 후 의병장 역임 |
활동 시기/일시 | 1908년 6월 - 권석도, 군자금 모금 활동 중 체포 |
활동 시기/일시 | 1908년 7월 - 권석도 탈주 |
활동 시기/일시 | 1909년 10월 10일 - 권석도 투옥 |
활동 시기/일시 | 1916년 6월 24일 - 권석도 출옥 |
활동 시기/일시 | 1918년 2월 - 권석도 투옥 |
활동 시기/일시 | 1918년 12월 12일 - 권석도 출옥 |
몰년 시기/일시 | 1946년 4월 6일 - 권석도 사망 |
추모 시기/일시 | 1986년 - 권석도, 건국훈장 독립장 추서 |
추모 시기/일시 | 1990년 6월 - 권석도 흉상 건립 |
추모 시기/일시 | 1991년 6월 - 권석도 동상 건립 |
출생지 | 경상남도 함양군 백전면 |
거주|이주지 | 경상남도 함양군 백전면 동백길 19-6[양백리 587번지] |
성격 | 의병 |
성별 | 남 |
대표 경력 | 의병장 |
[정의]
개항기에 활동한 경상남도 함양군 백전면 출신 의병.
[가계]
권석도(權錫燾)[1880~1946]는 1880년 9월 9일 경상남도 함양군 백전면에서 출생하였다. 이명으로 권명구(權命九), 윤일이(尹一二) 등을 사용하였다. 본관은 안동(安東)이다. 외아들 권영수(權寧洙), 손자 권오영(權五永)을 두었다.
[활동 사항]
1905년 을사늑약 체결에 분노하여 김동신(金東臣)[1871~1933] 의진에 참가하여 활동하다가 고광순(高光洵)[1848~1907] 의진에 합류하였다. 1907년 10월 고광순이 전사한 후 동년 12월 21일에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변에서 박인환(朴仁煥)[1882~1909] 의진에 합류하였으며, 의병장이 되었다.
이후 권석도는 지리산(智異山)[높이 1,915.4m]을 거점으로 함양·하동·구례 등지에서 활동을 이어 갔으며, 1908년 6월 하동 일대에서 군자금 모금 활동을 하다가 체포되어 하동주재소에 구금 중 1908년 7월 9일 탈주하다가 흉부에 총상을 입었다. 1909년 3월 이학로(李學魯)[1867~1933] 의병장과 함께 경상남도 진주에서 군자금 모집 활동을 하다가 1909년 10월 10일 다시 체포되었다. 1909년 12월 5일 종신형을 선고받았으며, 1916년 6월 24일 일왕의 특사로 임시출옥하였다. 1918년 2월경 일제에 의하여 다시 강도사건으로 누명을 쓰고 붙잡혀 10개월 간 옥고를 치르다가 무죄 판결로 1918년 12월 12일 출옥하였다. 권석도는 투옥 과정에서 허위 자백을 강요하는 일본 경찰의 고문 후유증으로 건강을 회복하지 못하였다.
1919년 3.1운동 이후엔 경찰의 감시가 심해지자 가족들과 함께 경상북도 포항·울진 등으로 옮겨 다녔다.
[상훈과 추모]
1986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권석도의 공로를 기념하기 위하여 1990년 6월 경상남도 함양군 백전면사무소 뒤편에 흉상이 세워졌다. 1991년 6월에는 ‘권석도 의병장 기념사업회’에서 상림공원 내에 동상을 건립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