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마구 은마구」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201294
한자 金- 銀-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말산리
집필자 전우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2005년 - 「금마구 은마구」 김영일이 강삼수로부터 채록
수록|간행 시기/일시 2005년 - 「금마구 은마구」『함안의 구전 설화』에 수록
관련 지명 소실 -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말산리
채록지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말산리
성격 설화|민담|재주담
주요 등장 인물 청년|부잣집 주인|딸
모티프 유형 말을 기르는 능력을 가진 청년

[정의]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말산리에서 말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개설]

「금마구 은마구」는 말[馬]을 잘 돌보고 기르는 능력을 지닌 젊은이가 재산이 많아 마구간에도 금칠, 은칠을 한 부잣집에 식객으로 머물다가 병이 든 말을 고쳐 주고 살찌우는 등 자신의 능력을 보여 주고 주인집 딸과 결혼을 했다는 청년의 재주담이다.

[채록/수집 상황]

2005년 함안 문화원에서 간행한 『함안의 구전 설화』의 303쪽에 수록되어 있다. 「금마구 은마구」의 정확한 채록 시기는 밝혀져 있지 않으나 함안 향토 문화 연구소의 위원들이 2년에 걸쳐 지역의 이야기 36편을 발굴한 것이다.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말산리 주민 강삼수가 제보하고 김영일이 정리하였다.

[내용]

옛날 고성에 게으르고 가난한 젊은이가 있었다. 생긴 것은 헌헌장부였지만 거짓말에 허풍이 심해서 처음 보는 사람들은 참말처럼 믿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청년은 동물을 기르고 길들이는데 뛰어난 능력을 가지고 있었다. 어느 날 시장에 가서 병들고 빼빼 마른 망아지를 한 마리 사와 정성을 다해 길렀다. 시간이 지나자 비실비실하던 망아지의 엉덩이에 살이 붙으며 눈매도 초롱초롱해졌다. 3년이 지나자 청년은 말을 타고 전국에 산천 유람을 떠났다.

고성 바닷가를 돌아 산악 지대로 접어들 무렵 함안 소실[牛谷]에 엄청난 부자가 살고 있다는 소문을 들었다. 재산이 얼마나 많았으면 마구간에도 금칠, 은칠을 한다는 것이었다. 호기롭게 부잣집을 찾아간 청년은 번지르한 거짓말로 주인을 속여 그 집에 머물게 된다. 또한 물 흐르듯 막힘없는 달변으로 자신의 근본과 가세를 포장하여 부자 주인의 신임을 얻기에 이른다. 훤칠한 미장부에, 권세 있는 양반 가문에, 가진 것이 백석지기라고 하니 부잣집 주인은 과년한 딸의 남편감으로 탐내었다.

청년이 부잣집 식객으로 머물며 금마구에 있는 말을 살펴보니 병색이 농후했다. 청년이 자신의 유일한 능력을 발휘하여 말과 가축을 돌보자 금세 살이 오르고 생기가 돌았다. 그렇게 되자 주인댁 딸과 청년의 혼인은 이루어지고 자식을 잉태하게 되었다. 청년은 자식이 태어난다고 생각하자 현실의 무게를 감당하기가 힘들었다. 그 자신이 살아온 방식을 되돌아보니 거짓, 게으름, 허풍뿐이었다. 그는 오랜 고민 끝에 편지 1통만 남긴 채 말 한마디 없이 고향인 고성으로 돌아갔다.

신부가 남편을 찾아오니 산중턱에 있는 오두막에 세간살이라고는 지지리 궁상이었다. 신부는 하도 앞날이 막막하여 방바닥을 쥐어 뜯으며 땅을 치면서 울고 또 울었다. 그렇게 한참을 울고 정신을 차려 보니 뜯겨진 방바닥에 누우런 물체가 보였다. 흙을 온전히 제거하고 확인하였더니 커다란 금덩이였다. 신부가 금을 팔아 터를 사고 집을 짓고 전답(田畓)을 마련하니 고성에서 내로라하는 부자가 되었다.

[모티프 분석]

「금마구 은마구」의 주요 모티프는 '말을 기르는 능력을 가진 청년'이다. 말을 기르는 능력은 사기꾼으로서의 능력을 의미한다. 기른 말을 타고 산천 유람을 떠났다는 것은 청년의 입사식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리고 신부가 발견한 금덩이는 세계의 질서이며, 신부가 청년에게 금을 제공함으로써 입사식이 완성된다. 이러한 청년의 입사식은 자신의 운명을 극복하고 새로운 삶을 획득하는 통과 의례의 한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이렇듯 우리의 옛이야기는 신화적 요소에 그 근거를 두고 있으며, 시대에 따라 변이된 형태를 가진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