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마귀 신령」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201273
한자 - 神靈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경상남도 함안군
집필자 전우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수록|간행 시기/일시 1985년 - 「까마귀 신령」『아라의 얼』에 수록
수록|간행 시기/일시 2005년 - 「까마귀 신령」『함안의 구전 설화』에 수록
성격 설화|민담|동물담|지혜담
주요 등장 인물 강 진사|김 진사|김 도령|김 도령 모친|강 낭자|강 낭자 모친
모티프 유형 까마귀를 이용한 김 도령의 지혜

[정의]

경상남도 함안군에서 까마귀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개설]

예부터 우리 조상들은 까마귀를 상스러운 날짐승으로 여겼다. 까치가 아침에 울면 길한 징조라 여겨 반가워한 반면, 까마귀가 울면 불길한 징조라 여겨 침을 뱉고 돌아섰다. 「까마귀 신령(神靈)」은 이러한 까마귀를 이용한 동물담이자, 기지(機智)를 발휘하여 자신의 운명을 이끈 김 도령에 대한 지혜담이기도 하다.

[채록/수집 상황]

1985년 함안군에서 채록하여 간행한 『아라(阿羅)의 얼』에 실려 있다. 이후 2005년 함안 문화원에서 출판한 『함안의 구전 설화』의 47쪽에도 「까마귀 신령」을 재정리하여 수록하고 있다.

[내용]

옛날 어느 고을에 김 진사와 강 진사가 살았다. 두 집안은 고을의 토호(土豪)로서 유대가 돈독하였으며, 서로 사돈이 되기를 약속하고 두 집안의 어린 자녀를 정혼시켰다. 하지만 어느 날 김 진사가 시름시름 앓다가 죽게 되자 그 많던 재산도 다 없어지고 하루아침에 망하고 말았다. 이에 두 집안의 신의는 세월 속에 묻혀 버리고 왕래마저 끊어지고 말았다.

세월이 흘러 김 진사 댁 도령은 훤훤 장부가 되었고, 강 진사 댁 낭자는 인물과 재지(才地)를 두루 갖춘 최고의 신붓감이 되었다. 하지만 이들의 정혼은 이미 오래 전에 없던 일이 되었으며, 강 진사의 권세 또한 대단하여 몰락한 집안의 김 도령은 감히 어찌 할 도리가 없었다. 그러나 김 도령은 강 진사의 괄시에 오기가 발동하여 강 낭자와 혼인하기로 작정하고 매파를 보냈으나 일언지하에 거절당한다. 이에 김 도령은 병을 얻어 몸져 눕고 말았다. 몰락한 집안에 외아들마저 앓아누우니, 김 도령의 모친은 모든 수모를 각오하고 강 진사 댁을 직접 찾아가서 청혼하였다. 그러나 강 진사는 사정하는 김 도령의 모친에게 똥물을 퍼먹여 개 쫓듯 몰아내었다. 병석에 누워서 이러한 충격적인 사실을 들은 김 도령은 분노하며 복수를 결심하였다.

그날부터 김 도령은 까마귀 잡기에 열을 올렸다. 그해 9월 9일 자정 쯤 강 진사 댁 뒤뜰 고목 아래서 안가태평(安家太平)과 소원을 기원하는 큰 제례가 올려지고 있었다. 그때 갑자기 나무 위에서 청천벽력 같은 불호령이 떨어지며 강 진사를 꾸짖었다. 김 진사 댁을 방문하여 백배 사죄드리고 약조대로 김 도령을 사위로 맞지 않으면 강 진사 가문을 도륙 낼 것이라는 말을 남기고 불덩이 한 개가 하늘 높이 치솟더니 서편으로 사라졌다. 그 불덩이는 김 도령이 잡은 까마귀로, 발에 솜을 매달아 불을 붙이니 뜨거움에 놀라 혼신의 힘을 다해 서편으로 날아간 것이었다.

우여곡절을 거쳐 혼인식을 끝내고 신랑 신부는 합환주상(合歡酒床)을 물리고 금침에 들었다. 신부는 긴장과 피로에 곤히 잠드는데, 신랑은 떡을 빚어 똥인 양 꾸미고 신부의 속곳에 넣는다. 잠에서 깨어난 신부는 부끄러움에 혼이 빠져 경황이 없는데, 신랑은 사랑하는 정표로 이것을 먹어 치운다. 시간이 흘러 내외가 첫 근행(覲行)을 들리니 백년지객(百年之客)을 맞는 강 진사 댁의 대접이 융숭하였다. 이날 함포고복(含哺鼓腹)에 대취한 김 도령은 생분(生糞)의 실례를 하고 말았다. 신부는 첫날밤의 일을 돌이켜 신랑의 인분을 친정어머니와 같이 먹어 치우게 된다. 이로써 모든 악연의 고리가 풀리고 김 선비 내외는 행복한 삶을 누렸다.

[모티프 분석]

「까마귀 신령」의 주요 모티프는 '까마귀를 이용한 김 도령의 지혜'이다. 김 도령은 흉조라 여기는 까마귀를 신령화하여 강 진사를 깨우치게 하고, 강 낭자와 혼인한다. 또한 기지를 발휘하여 모친이 당한 수모를 갚고 모든 악연의 고리를 풀게 된다. 이로써 김 도령이 자신의 운명을 개척하고 행복한 삶을 누렸다는 이야기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