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201246
한자 端午
영어공식명칭 Dano Festival |5th Day of the 5th Lunar Month
이칭/별칭 수릿날,중오절,천중절,단양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지역 경상남도 함안군
집필자 성윤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속|세시 풍속
의례 시기/일시 음력 5월 5일

[정의]

경상남도 함안 지역에서 음력 5월 5일에 지내는 명절 풍속.

[개설]

음력 5월 5일 단오는 양의 수가 겹치는 날로서 설·추석과 함께 3대 명절의 하나이다. 이를 '수릿날', '중오절(重五節)', '천중절(天中節)', '단양(端陽)' 등이라고도 한다. 단오의 단(端)은 첫 번째를 의미하고, 오(午)는 오(五)로써 다섯이라는 뜻으로, 즉 단오는 '초닷새'를 의미한다. 이날은 일 년 중에서 가장 양기가 왕성한 날이라 하여 큰 명절로 여겨 왔으며, 조상에게 풍년 들기를 기원하는 제사를 지내기도 하고, 남녀가 새 옷을 입고 하루를 즐기는 등 다양한 세시 풍속이 행해졌다. 하지만 현대에 오면서 이러한 풍속은 소멸되거나 점차 간소화되고 있다.

[연원 및 변천]

단오는 중국의 초나라 풍속으로 전한다. 회왕(懷王) 때에 굴원(屈原)이라는 신하가 재주가 뛰어나 왕의 신임과 사랑을 받았다. 회왕이 죽고 양왕(襄王)이 임금이 되자 굴원은 간신들의 모함으로 귀양을 가게 되었다. 이에 굴원은 자신의 올바름과 지조를 보이기 위해 여러 편의 글을 지어 올리고 5월 5일 멱라수(汨羅水)에 몸을 던져 죽은 일이 있었다. 당시 사람들이 굴원이 죽은 날인 5월 5일을 기려 제사 지내고 액을 막기 위해 붉은 연지를 창포 뿌리에 묻혀 뿌림으로써 단오가 시작되었다고 한다.그리고 우리나라의 조선 후기에 편찬된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 의하면 "단옷날에는 산에서 나는 수리취[戍衣翠]라는 나물로 떡을 해 먹기도 하고 쑥으로 떡을 만들어 먹는다고 했는데, 그 모양이 수레바퀴처럼 둥글기 때문에 수릿날이라는 명절 이름이 나왔다."고 한다. 그리고 수리는 상(上), 고(高), 신(神), 태양을 의미하는 용어이기도 하다.

[절차]

함안군 칠북면 영동리 영동 마을에서는 단옷날이 되면 이슬을 맞은 약쑥을 해 두었다가 쑥뜸을 뜰 때 쓰기도 하고, 익모초와 밤, 대추, 감초 등을 넣고 달여 먹는다. 그리고 논이나 개울가에 있는 창포를 삶아서 그 물로 머리를 감는다. 이렇게 창포물로 머리를 감으면 머릿결이 좋아지고 윤기가 흐른다고 한다. 함안군 가야읍 혈곡리 대성 마을에서는 단오 아침에 여자들이 분나무에 맺힌 이슬을 받아서 박가분과 함께 얼굴에 바르기도 하는데, 이 분을 바르면 피부가 고와지고 버짐이 생기지 않는다고 한다. 함안군 여항면 외암리에서는 단옷날 무렵 약쑥을 뜯어서 대문 앞에 걸어서 말린 후 뜸을 뜨기도 하고, 해산한 부인이 좌욕하는데 사용하기도 한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전통 사회에서 부녀자들은 ‘단오장(端午粧)’이라 하여 창포 뿌리를 잘라 비녀로 만들어 머리에 꽂아 두통과 재액(災厄)을 막고, 창포를 삶은 물에 머리를 감아 윤기를 더하게 하였다. 또한 단오에 행하는 씨름, 줄다리기, 그네타기 등과 같은 놀이는 앞으로 다가올 무더위를 대비하기 위한 체력 단력과 관련된 일종의 주술적 행위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