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상복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201225
한자 平常服
영어공식명칭 Everyday Clothes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남도 함안군
집필자 성윤석

[정의]

경상남도 함안 지역에서 일상생활이나 작업할 때 입는 의복.

[개설]

함안 지역에서 평상시 사람들이 즐겨 착용하던 의복이 일제 강점기를 기점으로 한복에서 양복으로 변해 가고, 이후 산업화와 도시화라는 한국 사회의 문화 변동 속에서 평상복의 지역성이 전국적으로 같아지는 모습을 알 수 있다.

[변천]

1930년대~1940년대에 이르면 계층 간의 차이가 사라지고, 신분에 의한 의복의 차이가 없어지기 시작하였는데, 한복뿐만 아니라 서구적인 차림으로 의복을 입는 경우도 있었다. 즉 양복과 전통 한복이 공존하는 과도기적 시기이다. 1950년대 이후부터는 양복이 정착되고 한복 착용이 줄어들게 되는 상황에서 '반짝이', '지지미[쫄쫄이]', '다후다[태피터]', '나일론' 등 합성 섬유를 의복 재료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특히 '인견'으로 제작한 의복이 인지도가 높았다.

1960년대~1970년대에는 한국 사회의 산업화와 도시화 과정 속에서 합성 섬유가 의복의 재료로 널리 사용되고, 양복을 일반적인 평상복으로 즐겨 입었다. 1980년대~1990년대에는 의복의 재료가 다양해졌다. 그리고 옷감이 유행을 타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였으며, 상의의 목둘레에 덧붙이는 '칼라[옷깃]'에 모양이 들어가거나, 바지의 경우 폭이 넓어지거나 좁아지고, 치마의 경우 길이가 길어지거나 짧아지는 등의 평상복을 즐겨 입었다. 2000년대 이후에는 의복이 다양하게 생산되면서 전국적으로 획일화되어 지역적인 차이를 발견하기가 어렵게 되었다.

[현황]

현대의 의복은 계층과 세대를 넘어서 유행에 따라 개성에 따라 다양하게 갖추어 입을 뿐 지역적인 차이를 발견하기란 어렵다. 함안의 평상복도 이런 측면에서 우리나라 전체의 흐름과 별 차이가 없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