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200597
한자 壽峯集
영어공식명칭 Subongjip
이칭/별칭 『수봉 문집(壽峯文集)』,『수봉 선생 문집(壽峯先生文集)』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문헌/전적
지역 경상남도 함안군
시대 근대,현대
집필자 권난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960년연표보기 - 『수봉집』 간행
소장처 국립 중앙 도서관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산60-1]
소장처 계명 대학교 동산 도서관 -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 1095[신당동 1000]
소장처 영남 대학교 도서관 - 경상북도 경산시 대학로 280[대동 214-1]
소장처 전남 대학교 도서관 -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로 77[용봉동 300]
성격 시문집
저자 황도성
편자 황철준|황철구
권책 5권 2책
행자 10행 20자
규격 20.0×28.3㎝|15.3×19.7㎝[반곽]
어미 내향 이엽 화문 어미(內向二葉花紋魚尾)
권수제 수봉집(壽峯集)
판심제 수봉집(壽峯集)

[정의]

함안 출신의 유학자 황도성의 시문집.

[저자]

황도성(黃道性)[1880~1942]의 본관은 창원(昌原)이며, 자는 자선(子善), 호는 수봉(壽峯)이다. 초명은 황종대(黃鍾大)였으며 1880년 3월 5일 영동리(英洞里)에서 태어났다. 회당(晦堂)장석영(張錫英)의 문인이었으며, 당시의 석학들과 서면으로 교유하였다. 1942년 9월 향년 65세로 죽었다.

[편찬/간행 경위]

『수봉집(壽峯集)』황도성이 세상을 떠난 17년쯤 뒤에 자식들이 그의 유문을 모아 편찬한 것이다. 1958년 가을에 장남 황길준이 이기윤(李基允)에게 서문을 의뢰하였고, 1960년에는 황길준의 주도하에 셋째 황철구(黃喆球)가 묘지명(墓誌銘)과 묘갈명(墓碣銘)을 부탁하러 다녔다. 2월에 장일상(張一相)에게 묘지명을 받고 4월에 노근용(盧根容)에게 묘갈명을 받고서 황철구 자신이 직접 발문(跋文)을 지어 최종 간행한 것으로 보인다. 『수봉 문집(壽峯文集)』, 『수봉 선생 문집(壽峯先生文集)』이라고도 불린다.

[형태/서지]

5권 2책의 목활자본이다. 판식은 사주 쌍변(四周雙邊)으로, 계선(界線)이 있으며, 내향 이엽 화문 어미(內向二葉花紋魚尾)이다. 크기는 가로 20.0㎝, 세로 28.3㎝이며, 반곽의 크기는 가로 15.3㎝, 세로 19.7㎝이다. 1면 10행에 1행의 자수는 20자이다. 권수제와 판심제는 '수봉집(壽峯集)'으로 되어 있다. 국립 중앙 도서관, 계명 대학교 동산 도서관, 영남 대학교 도서관, 전남 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구성/내용]

권1은 시(詩)인데 서정시 40여 수와 40여 명에 대한 만시(挽詩)로 구성되어 있다. 만시의 대상 중에는 황도성이 의문점을 여쭙곤 했던 당시의 석학들이 많다. 권2는 서(書)와 잡저(雜著)인데, 장석영(張錫英)과 곽종석(郭鍾錫)에게 올린 각 8편의 편지를 비롯하여 김도화(金道和)·이승희(李承熙)·이만도(李晩燾)·윤주하(尹冑夏) 등에게 질문한 편지 및 교유인들과 주고받은 서찰들이다. 권3에는 서(序)·기(記)·발(跋)·명(銘)·상량문(上梁文)·축문(祝文)·제문(祭文) 들이 실려 있다.

권4에는 비명(碑銘)·묘갈명·행장(行狀)·유사(遺事)가 실려 있는데, 비명은 1편으로 「문정공 미수 허선생 유허비명(文正公眉叟許先生遺墟碑銘)」이며 묘도 문자들은 대부분 집안의 선현들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권5는 부록이다. 황도성의 행장은 장우원(張右遠)이 썼고, 묘지명은 장일상이, 묘갈명은 노근용의 작품이다. 1858년에 이기윤(李基允)이 쓴 서문과 1960년에 셋째 아들 황철구가 쓴 발문이 책의 앞뒤에 각각 수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황도성이 당대 석학들과 주고받은 편지들이 19세기 말 사상의 흐름을 살필 수 있는 자료로서 의의가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