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와 유고』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200582
한자 土窩 遺稿
영어공식명칭 Towayugo
이칭/별칭 『토와집(土窩集)』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문헌/전적
지역 경상남도 함안군 산인면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구경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974년연표보기 - 『토와 유고』 간행
소장처 조문규 - 경상남도 함안군 산인면 모곡1길 156-5[모곡리 883-3]
성격 문집
저자 안철순
간행자 안판수
권책 2권 1책
행자 10행 24자
규격 19.9×28.4㎝
어미 상 이엽 화문 어미(上二葉花紋魚尾)
권수제 토와 유고(土窩遺稿)
판심제 토와 유고(土窩遺稿)

[정의]

1974년에 간행된 함안 출신의 유학자 안철순의 문집.

[저자]

안철순(安哲淳)[1789~1857]의 본관은 순흥(順興)이며, 자는 경문(景文), 호는 토와(土窩)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안응찬(安應瓚), 할아버지는 안택수(安宅修), 아버지는 안홍기(安弘器)이고, 어머니는 성계관(成啓灌)의 딸인 창녕 성씨(昌寧成氏)이다. 부인은 성치중(成致中)의 딸인 창녕 성씨(昌寧成氏)이다. 외손자가 조병규(趙昺奎)이다. 현재의 경상남도 함안군 산인면 모곡리에서 태어났다. 처음에는 삼종조 안몽백(安夢伯)에게 배웠고, 뒤에 성효천(成孝天), 허강(許(亻+岡))에게 수학하면서, 세 스승의 기대를 받았다. 여러 차례 과거에 낙방한 뒤로 함안군 모곡리포덕산(飽德山) 속에 집을 지어 ‘토와’라고 편액하고 두문불출하며 학문에 힘썼다. 조완(趙湲), 오려(吾廬)박준번(朴俊蕃) 등과 교유하였고, 이지민(李志敏), 이봉억(李鳳億) 등 지방관들이 찾아와 백성을 구제하는 계책을 묻거나 향음주례에 대한 자문을 구하기도 하였다. 묘소는 함안군미라산(尾羅山) 자좌(子坐)에 있다.

[편찬/간행 경위]

안철순이 죽은 뒤 1865년 아들 안정식(安廷植)이 가장(家狀)을 짓고 1866년 허전(許傳)에게 묘표(墓表)를 받았다. 이를 토대로 1914년 안철순의 손자 안균열(安均烈)과 외손자 조병규(趙昺奎)가 주도하여 유고를 수집하고 편차를 정하며, 서문을 지었지만 간행하지 못하였다. 이후 6·25 전쟁 가운데서도 보전된 유고를 안철순의 5세손 안판수(安判洙)와 안수창(安洙昌)이 주도하여 1974년에 『토와 유고(土窩遺稿)』를 간행하였다. 『토와집(土窩集)』이라고도 불린다.

[형태/서지]

2권 1책의 신연활자본(新鉛活字本)이다. 판식은 사주 쌍변(四周雙邊)으로, 계선(界線)이 있으며, 상 이엽 화문 어미(上二葉花紋魚尾)이다. 크기는 가로 19.6㎝, 세로 28.4㎝이다. 1면 10행에 1행의 자수는 24자이다. 권수제와 판심제는 '토와 유고(土窩遺稿)'로 되어 있다. 경상남도 함안군 산인면 모곡리조문규 가에 개인 소장되어 있다.

[구성/내용]

조병규의 서문을 시작으로, 권1에는 시(詩) 68제(題), 기(記) 3편, 설(說) 1편, 서(序) 3편, 서(書) 1편, 상량문(上樑文) 2편, 제문(祭文) 8편이 있다. 기문 가운데 「토와기(土窩記)」는 안철순이 과거에 낙방한 뒤 부귀영달에 대한 마음을 단념하고 성현의 위기지학(爲己之學)을 연구하며, 자녀와 제자들을 양성하기 위해 포덕산에 지은 서실에 대한 기문이다. 권2 부록에는 21명의 만시(挽詩), 17명의 제문, 가장(家狀)[안정식, 1865], 행장(行狀)[송호곤, 1910], 묘표(墓表)[허전, 1866], 묘갈명(墓碣銘)[이훈호, 1914], 묘지명(墓誌銘)[안용호, 1974], 전(傳)[이호섭, 1974]과 4명의 발문[조종정, 조광제, 성수경, 안판수, 1974]이 수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토와 유고』는 조선 후기 함안 지역 유림들의 사상과 생각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