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200709 |
---|---|
한자 | 咸陽碧松寺妙法蓮華經木板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물/유물(일반) |
지역 |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 광점길 27-177[추성리 259]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공광성 |
제작 시기/일시 | 1685년 - 함양 벽송사 묘법연화경 목판 제작 |
---|---|
문화재 지정 일시 | 1997년 1월 30일 - 함양 벽송사 묘법연화경 목판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15호로 지정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11월 19일 - 함양 벽송사 묘법연화경 목판,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 |
현 소장처 | 벽송사 -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 광점길 27-177[추성리 259] |
성격 | 책판 |
재질 | 나무 |
크기(높이,길이,너비) | 47.3×23.0×4.1㎝ |
관리자 | 벽송사 |
문화재 지정 번호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
[정의]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 추성리 벽송사에 보관되어 있는 『묘법연화경』의 목판.
[개설]
『묘법연화경』은 초기 대승경전의 하나로 한국 천태종의 근본경전이다. 일명 『법화경』이라고도 한다. 중국 후진(後秦)의 구마라습이 한문으로 번역한 것인데, 전체 7권 28품이다. 본문이 221매이고, 변상도(變相圖) 2매, 예제편람 1매, 규작음 2매, 다라니경 1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판에는 ‘熙二十四年乙丑 仲夏日 慶尙南道 咸陽郡 智異山 安旺寺 新刊留鎭’이라는 간기(刊記)가 남아 있어 1685년(숙종 11)에 지리산 안왕사(安旺寺)에서 만들어졌음을 알 수 있다. 책판이 안왕사에서 만들어졌지만 현재 벽송사에서 관리하고 있는데, 언제부터 이곳으로 옮겨 와 관리하였는지에 대해서는 기록이 남아 있지 않다.
[형태]
책판의 전체 크기는 47.3×23.0×4.1㎝이고, 마구리가 있다. 사주단변은 34.0×23.2㎝이며, 반곽은 23.2×17㎝이다. 계선은 없으며 행자는 10행 18자이고, 주는 쌍행(雙行)이다. 하향흑어미(下向黑魚尾)이다.
[특징]
책판의 판각은 매우 정교하다. 특히 앞에 붙은 변상도(變相圖)를 통해 당시 뛰어난 판각 기술을 예술적으로 승화하였음을 느낄 수 있다.
[의의와 평가]
함양 벽송사 묘법연화경 목판 은 조선시대 사찰의 목판 인쇄에 관한 상황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로, 1997년 1월 30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15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