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등운문산성」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502008
한자 登雲門山城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상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자 생년 시기/일시 1484년 - 박하징 출생
저자 몰년 시기/일시 1566년 - 박하징 사망
관련 사항 시기/일시 1871년 - 「등운문산성」 『병재 문집』에 수록
배경 지역 운문산 -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지도보기
성격 시|한시
작가 박하징

[정의]

조선 전기 박하징운문산성을 오르며 지은 한시.

[개설]

박하징(1483∼1566)이 운문산과 관련하여 남긴 시는 「등운문산성(登雲門山城)」을 포함해 모두 4수이다. 선경에 노니는 한가로움이 잘 표현되어 있다. 1871년 『병재 문집』에 수록되었다.

[구성]

「등운문산성」은 5언 율시이며, 운자는 ‘편(鞭)’, ‘견(鵑)’, ‘천(川)’, ‘연(筵)’이다.

[내용]

건마유산객(騫馬遊山客)[느린 말로 산에 노니는 나그네]

행행고불편(行行故不鞭)[가는 길 짐짓 채찍질도 하지 않네]

암변삼곡로(巖邊三曲路)[바위 곁 세 갈래 굽은 길]

수리일쌍견(樹裏一雙鵑)[나무에는 한 쌍의 두견새]

만향풍전경(晩響風傳磬)[느지막이 바람이 전하는 풍경 소리 울리고]

기관월만천(奇觀月滿川)[시내에 가득한 달빛은 기이한 경관이로세]

사화인방장(賖花因放杖)[호사스런 꽃 때문에 지팡이를 놓으니]

방초자위연(芳草自爲筵)[향기로운 풀 절로 자리를 이루었네]

말에 채찍질을 하지도 않고 그저 맡겨 둘 뿐이다. 산성으로 오르는 갈림길을 만나 말에서 내려 지팡이를 짚고 운문산성으로 오른다. 정상에 올라보니 산성 아래 운문사에서 들려오는 저물녘 풍경 소리는 바람을 타고 울려 퍼지고 저 아래 시내는 달빛으로 기이한 경관을 이루고 있다. 잠시 지팡이를 놓고 앉았노라니 향기로운 풀들이 코를 자극한다.

[특징]

「등운문산성」운문산성(雲門山城)[지룡산성]으로 오르는 과정과 정상에서 바라본 풍경을 읊고 있다. 시인의 한가로운 정서가 잘 드러나 있다.

[의의와 평가]

16∼17세기 청도의 한문학은 운문산을 중심으로 한 산수 문학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청도의 대표적인 처사 박하징의 시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