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출산 의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501866
한자 出産儀禮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북도 청도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성용

[정의]

경상북도 청도군에서 행하는 아이의 출산과 관련한 의례.

[개설]

출산 의례는 임신을 기원하는 기자속(祈子俗), 임신에서 출산까지의 임신속, 출산 후 금줄과 삼신상을 차리면서 행하는 출산속, 칠일 행사를 비롯해서 백일 이전까지의 산후속, 그 이후의 백일과 돌 행사로 이루어진다.

[전통 출산 의례]

청도 지역의 기자속에는 아이를 갖게 해 달라며 삼신 같은 초자연적 존재나 당산나무 등의 자연물에 비는 습속이 있었다. 아이가 생기지 않으면 무당에게 찾아가서 굿을 하기도 하였다. 아이를 가지면 몸가짐을 조심하여 임신부가 있는 집의 사람들은 초상집에 가지 않으며 묘를 이장하지도 않았다. 디딜방아에 손을 대면 아이의 얼굴이 이상하게 나온다고 하여 손을 대지 않았다. 음식도 가려 먹었다.

아이를 출산하면 태를 가위나 낫으로 자르고 벗겨 놓은 벼 껍질인 등겨를 묻혀 태를 태웠다. 산모가 있는 집의 대문에는 금줄을 쳤다. 삼칠일[21일] 동안 마른 쌀과 미역을 상 위에 차려 놓고 삼신을 모셨다.

[현대 출산 의례]

임신하게 되면 ‘아이를 가졌다.’, ‘애가 섰다.’, ‘입덧을 한다.’라고 한다. 시어머니나 산모가 태몽을 꾸는데 동식물 등에 따라 아들 또는 딸이라고 미루어 짐작하기도 한다. 임신 기간에 산모가 행해야 할 금기로서는 문어·오리·비둘기·가재·노루·토끼·회 등을 먹으면 안 된다. 가족들도 살생하거나 부정한 짓을 해서는 안 된다.

출산속으로 아이를 낳으면 태를 자르는데 이를 ‘삼 가른다.’라고 한다. 1992년의 조사를 보면 태를 자를 때 아들은 낫으로, 딸은 가위로 잘랐다고 한다. 오늘날은 대개 병원에서 출산하기 때문에 삼신을 모시는 풍속은 거의 사라져 버렸다.

산후속으로 산모는 삼칠일 동안 미역국과 밥만을 먹는다. 산후에 산모의 몸에 ‘바람이 드는 것’을 막고자 차가운 곳에 있지 않게 하고 몸을 따뜻하게 해 준다. 대개 아이가 태어난 지 이레가 되는 첫이레 만에 부엌 출입을 한다. 이 기간에는 초상집에 가면 안 된다.

백일에는 백일상을 차린다. 준비하는 음식으로 밥·미역국·흰무리떡[백설기]·수수팥떡·유과·과실·엿 등을 준비한다. 삼신상에 물·밥·미역국 등을 차려 놓고 아이와 산모의 건강을 빈다. 백일 때에는 별다른 행사를 하지 않았으나 요즈음에는 백일잔치를 하는 집도 있다. 돌잔치 때에는 성대하게 음식을 준비한다. 밥·미역국·백설기·인절미·시루떡·수수팥떡·절편·경단·웃기떡·주악·고기·잡과병·전 등의 음식, 책·연필·붓·돈·실 등을 돌상에 차린다. 책·연필·붓은 공부를 잘하는 것, 돈은 부자가 되는 것, 실은 수명장수를 의미한다.

오늘날에서 산모들은 병원에서 출산하기 때문에 전통적인 산속과 금기 등이 많이 사라졌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