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500818 |
---|---|
한자 | -精米所 |
분야 | 생활·민속/생활,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내호리 254-4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김찬영 |
건립 시기/일시 | 1941년![]() |
---|---|
현 소재지 | 영신 정미소 -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내호리 254-4![]() |
성격 | 정미소 |
양식 | 목조 트러스|가구식 |
정면 칸수 | 9칸 |
측면 칸수 | 2칸 |
소유자 | 고한규 |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내호리에 있는 정미소.
정미소는 곡물을 도정하거나 제분하는 공장으로 예전에 큰 마을마다 있었다. 영신 정미소는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내호리에 설치되었던 정미소로 대들보에 ‘소화(昭化) 16년……’이란 상량문이 적혀 있어, 1941년에 건축된 건물임을 알 수 있다.
현대화된 기계 양곡의 도입으로 마을마다 설치되었던 정미소는 이제 거의 찾아 볼 수 없는 상황이나 영신 정미소는 아직도 건립 당시의 구조와 형태로 가동중인 재래식 정미소이다.
청도읍 내호리 유호 마을 복판을 관통하는 마을길에 위치한 근대 대표적인 시조 시인인 청도 이호우와 이영도 생가 맞은편에 정미소가 있다.
1941년에 건축된 이후 별도의 수리 없이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규모는 정면 9칸, 측면 2칸에 전체 규모는 약 198.34㎡[60평]에 이른다. 평면은 도로 쪽을 따라 건물 장변을 배치하고, 정면 중앙에 출입문을 내었다. 내부 공간은 창고 4통 칸에 알곡식 창고 4통 칸, 기계실 8통 칸, 쌀 창고 2통 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조는 자연석 초석 위에 네모기둥을 세우고 매 칸마다 상인방과 하인방을 서로 엇갈리게 결구한 뒤 심벽을 쳤다. 일부 증설한 곳은 시멘트 블록으로 마감하였다. 상부 가구는 5량가인데, 일반적인 전통 목조 건축의 지붕 가구와는 차이가 있다. 즉 전면과 후면 기둥 간에 대들보를 걸고 대들보 위에 키가 다른 동자주를 세워 종량 없이 중도리와 마룻대를 각기 받도록 한 구조이다. 기계실이 있는 부분에는 기둥과 대들보간을 버팀대로 결구하기도 했다. 지붕은 맞배지붕에 함석을 이었다. 서까래 위에 쪼갠 대나무로 엮은 산자를 깔고 그 위에 짚을 섞은 흙을 고르게 깐 뒤 함석을 이었다.
현재 내호리 주민이 이용하는 정미소로 가동 중이며, 보존 상태가 양호하다.
근대 건립된 정미소로 건립 당시의 구조 및 형태를 잘 간직하고 있다. 이제는 거의 사라진 재래식 정미소의 구조와 형태를 파악할 주요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