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500573 |
---|---|
한자 | 淸道雲南故宅 |
분야 | 생활·민속/생활,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선암로 476 |
시대 | 근대/개항기 |
집필자 | 김난아 |
건립 시기/일시 | 1892년![]() |
---|---|
문화재 지정 일시 | 1992년 11월 26일![]() |
문화재 지정 일시 | 2013년 4월 8일![]()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11월 19일 - 청도 운남고택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재지정 |
현 소재지 | 청도 운남고택 -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선암로 476![]() |
성격 | 주거 건축 |
양식 | 납도리 |
정면 칸수 | 6칸[안채]|6칸[사랑채] |
측면 칸수 | 1칸[안채]|1.5칸[사랑채] |
소유자 | 박성림 |
관리자 | 박성림 |
문화재 지정 번호 |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신지리에 있는 조선 후기 주택.
조선 후기에 운강(雲岡) 박시묵(朴時默)의 셋째 아들인 박재충[1850∼1869]이 분가를 하면서 건립한 가옥(家屋)이다.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신지리에 위치한다. 금천면사무소에서 신지리 방향으로 난 지방도 919호선을 따라 오다 신지리 새마을 회관 약 500m 전, 길 좌측에 위치하고 있다.
1865년에 착공하였으나 박재충이 이듬해에 요절하자 중단되었던 것을 양자인 운남(雲南) 박좌현(朴佐鉉)[1870∼1947]이 1892년에 완공하였다.
전면에 세운 3칸 규모의 대문을 들어서면 마당을 사이에 두고 ‘一’자형의 사랑채와 안채가 ‘二’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안마당의 좌측에는 4칸 규모의 우진각집인 헛간채를 두어 전체적으로 튼 ‘ㄷ’자형의 배치를 이루게 하였다.
안채는 정면 6칸 측면 1칸 규모의 맞배 기와집인데, 이 지방에서 흔히 볼 수 있는 ‘一’자형 구성되어 있다. 평면 구성은 좌로부터 두 칸의 부엌, 한 칸의 안방, 두 칸의 대청, 한 칸의 건넌방 배열을 따르고 있다. 안방과 건넌방에는 차방이 있어서 수납 공간으로 활용되었다. 안채는 홑처마, 납도리, 3량가의 간결한 구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랑채는 정면 6칸 측면 1칸 반 규모의 맞배 기와집이다. 평면 구성은 좌로부터 두 칸의 마루와 한 칸짜리 사랑방 두 개, 전면 한 칸·측면 두 칸의 도장으로 구성된다. 홑처마, 납도리, 3량가의 간결한 구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청은 두 칸으로 안채 쪽과 중문 쪽 등 2면에 판장문이 있다. 대청의 전면과 후면에는 쪽마루가 설치되어 있고 전면으로 개방되어 있다. 대청의 후면과 좌측면은 판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문은 서쪽에 외여닫이 판장문이 2개, 북쪽으로는 쌍여닫이 판장문이 2개 등 모두 4개의 문이 설치되어 있다. 여름철에는 이를 개방시켜서 환기와 실내 온도 조절 등의 기능 수행을 쉽게 한 것으로 보인다.
2014년 현재 유지 관리가 잘 되고 있다. 1992년 11월 26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270호로 지정되었다가 2013년 4월 8일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74호로 승격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상북도 민속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운강 고택으로 들어가는 입구에 있어서 주변 경관을 고풍스럽게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