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2·7 사건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500491
한자 二七事件
이칭/별칭 2·7 파업,2·7 폭동,2·7 구국 투쟁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지역 경상북도 청도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권대웅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발생|시작 시기/일시 1948년 2월 7일연표보기 - 2·7 사건 발생
종결 시기/일시 1948년 2월 8일 - 2·7 사건, 좌익 계열 인사 색출
성격 파업 및 봉기 사건

[정의]

1948년 2월 경상북도 청도군을 포함하여 전국에서 일어난 남한 단선 단정 반대 총파업 사건.

[개설]

미군정에 의해 불법화된 남로당과 민주주의 민족 전선은 총선 일정이 발표되자 단독 선거와 단독 정부를 반대하며 2월 7일을 기해 전국적인 대규모 파업을 일으켰다. 이 파업 중 일부가 과격화되어 경찰과 물리적 충돌을 빚었다.

2·7 사건 은 ‘2·7 사건’, ‘2·7 파업’, ‘2·7 폭동’, ‘2·7 구국 투쟁’ 등의 용어로 불리고 있어 관점에 따라 역사적 평가가 엇갈린다.

[역사적 배경]

2·7 사건 의 직접적인 배경은 1948년 5월 10일로 예정된 남한 단독 선거와 단독 정부 반대에서 비롯되었다.

한국의 임시 정부 수립을 지원할 목적으로 설치된 미소 공동 위원회에서 임시 정부 수립에 대해 2차례 논의 끝에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1947년 8월 12일에는 완전 결렬되었다. 한국 문제는 9월 17일 UN에 상정되어 1948년 3월 31일 안에 UN 감시 하의 한국 총선거를 실시할 것을 결의한 뒤, ‘UN 한국 임시 위원단’을 발족시켰다. 1948년 2월 26일 마침내 미국의 결의안이 압도적 다수로 가결되어, 5월 10일 이내에 선거가 가능한 남한에서 총선거를 실시한다는 선언문을 발표하였다.

선언문 발표 후 국내에서는 좌·우익의 대립이 날로 격화되어 갔고, 특히 남로당의 ‘단독 선거 반대 구국 투쟁 위원회’를 중심으로 파업과 봉기가 일어났다.

[경과]

경상북도 청도군에서도 남로당 계열의 지시를 받고, 남조선 단독 선거 반대 및 인민 공화국 수립 지지 등을 내걸고 시위를 벌였다. 특히 청도군내에서 시위가 가장 격렬했던 곳은 이서면이었다.

1948년 2월 7일 밤 학산(鶴山)∼풍각(豊角)을 잇는 경비 전화선, 전주(電柱) 수십 주를 절단하여 전화가 불통되었다. 그런 다음 좌익 세력 수백 명이 이서 지서 외곽을 포위하고 횃불 시위와 함성을 지르고, 그중 수십 명이 자정을 기해 지서를 습격했다. 그 때 청도 경찰서에 상황이 보고되어 대기 중이던 경찰 병력을 긴급 출동해 지서가 점령되기 전에 시위를 진압했다.

[결과]

1948년 2월 8일 이서면사무소 본관을 사태 수습 본부로 삼고 각 마을에서 시위 또는 폭동에 가담한 좌익 계열 인사를 색출하고, 취조하는 등 장기간에 걸쳐 사태 수습이 이루어졌다. 사태 수습 기간 중에도 경비 전신주(警備電信柱)가 절단되어 이서면 행정이 일시 마비 상태에 빠지는 일도 발생했다.

[의의와 평가]

2·7 사건 은 단독 선거와 단독 정부 반대라는 분명한 투쟁 목표에 따라 사전에 충분히 준비되어 추진되었기 때문에 청도군을 비롯하여 전국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확대 전개될 수 있었다. 2·7 사건을 계기로 미군정 반대 세력은 장기전 상황에 돌입하게 되었고, 각 지방에서는 산악 지대를 근거지로 ‘남조선 인민 유격대’라는 무장 게릴라 조직들이 결성되었다. 청도군은 경주·영천·영일·양산·울산·동래·부산을 중심으로 한 영남 유격 지구에 속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