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500408 |
---|---|
한자 | 豊角縣 |
이칭/별칭 | 유산(幽山)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제도/법령과 제도 |
지역 |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각북면|각남면 |
시대 | 고대/삼국 시대/신라 |
집필자 | 강재현 |
940년부터 1906년까지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각북면·각남면 일대에 있던 행정 구역.
신라 시대의 상화촌현(上火村縣)으로 757년(경덕왕 16)에 유산현(幽山縣)으로 개칭 후 화왕군(火王郡)의 영현이 되었다. 고려 초의 군현제 개편 때 풍각현(豊角縣)으로 이름을 바꾸었으며, 1018년(현종 9)에 밀성군의 속현이 되었다. 이후 1684년(숙종 10)에 풍각현의 4개 면이 대구에 편입되었다가 1906년 청도군에 이속되었다.
후삼국 통일 전쟁이 일단락된 후에는 전반적인 체제 개편의 일환으로 고려 태조 때인 940년(태조 23) 지방 제도가 대대적으로 개혁되었다. 이러한 지방 제도 개편에 따라 유산현이 풍각현으로 개칭되었다.
풍각현의 지명 변천 과정을 알 수 있는 기본적인 자료는 『고려사(高麗史)』 지리지 밀성군 풍각현 조이며, 이후 편찬된 『세종실록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을 비롯한 각종 지리지나 읍지 등의 자료는 대부분 『고려사』 지리지를 따르고 있다. 다만 『대동지지(大東地志)』에는 이전 지리지에서는 볼 수 없었던 내용이 전한다.
『고려사』 지리지 풍각현 조에 의하면 “본래 상화촌현인데 고려 때 지금의 이름으로 고쳤다. 현종 9년 내속되었다.[本上火村縣 高麗改今名 顯宗九年來屬]”라고 하였다.
『경상도지리지(慶尙道地理志)』 풍각현 조에 의하면 “옛 상화촌인데 삼국 시대 때 풍각현으로 고쳤다. 고려 초 청도 임내에 소속되었다. 그 후 밀성 임내로 이속되었는데 연대는 미상이다. 본조에서도 그대로 따른다.[古之上火村 三國時改豊角縣 高麗初屬淸道任內 厥後移屬密城任內年代未詳 本朝因之]”라고 하였다.
또 청도군 조에 의하면 “고려 초에 풍각현이 소속되었다. 두야보 부곡은 지금은 밀양 임내가 되었는데 그 연대는 미상이다.[高麗初所屬豐角縣 豆也保部曲 今爲密陽任內 其年代未詳]”라고 하였다.
『신증동국여지승람』 밀양 도호부 속현 풍각현 조에 의하면 “부의 서북쪽 50리[19.636㎞]에 있다. 본래 상화촌현인데 고려 때 지금의 이름으로 고쳤다. 현종 9년에 내속되었다[유산이라고도 한다].[在府西北五十里 本上火村縣 高麗改今名 顯宗九年來屬(一名幽山)]”라고 하였다.
『대동지지』 대구 고읍(古邑) 풍각 조에 의하면 “부의 남쪽 70리[27.491㎞]에 있고 밀양과는 동남쪽으로 50리(19.636㎞) 떨어져 있다. 본래 상화촌인데 경덕왕 16년 유산으로 개칭 후 화왕군의 영현이 되었다. 고려 태조 23년 풍각으로 고치고 현종 9년 밀성에 속했다. 본조 현종조에 내속되었다.[南七十里 東南距密陽五十里 本上火村 景德王十六年改幽山爲火王郡領縣 高麗太祖二十三年改豊角 顯宗九年仍屬密城 本朝顯宗朝來屬]”라고 하였다.
또 방면(坊面) 조에 의하면 “각현내[남쪽으로 끝은 70리(27.491㎞)이다], 각북[남쪽으로 처음은 50리(19.636㎞)이고, 끝은 70리(27.491㎞)이다], 각초동[남쪽으로 처음은 70리(27.491㎞)이고, 끝은 100리(39.273㎞)이다], 각이동[남쪽으로 처음은 80리(31.418㎞)이고, 끝은 100리(39.273㎞)이다], 각남[남쪽으로 처음은 70리(27.491㎞)이고, 끝은 100리(39.273㎞)이다] 앞의 5면은 풍각고현 땅이다. … 두야보 부곡은 풍각고현 땅이다.[角縣內 南終七十 角北 南初五十終七十 角初同 南初七十終一百 角二同 南初八十終一百 角南 南初七十終一百 右五面豊角古縣地... 豆也保部曲在豊角古縣地]”라고 하였다.
『숙종실록(肅宗實錄)』 권15 숙종 10년 3월 17일[癸未] 조에 의하면 “묘당(廟堂)에서 복의하기를, ‘하양·경산을 합속시킨 것은 옛일이 있기는 하나 매우 어려운 일이니, 성주의 화원 8방과 밀양의 풍각 4면을 대구에 갈라 붙여서 영중(營中)의 용도를 돕게 하소서.’ 하니, 윤허하였다.[廟堂覆議言 河陽·慶山之合屬 雖有故事 事涉重難 星州之花園八坊 密陽之豐角四面 劃屬大丘 以濟營中之用 許之]”라고 하였다.
『고려사』 지리지에 따르면 풍각현은 본래 상화촌현으로 고려 때 명칭이 개정된 후 1018년(현종 9)에 밀성군에 내속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경상도지리지』에서는 고려 초에 청도군에 속해 있다고 기록되어 있고, 『대동지지』에서는 상화촌현이 757년(경덕왕 16)에 유산으로 개칭 후 화왕군의 영현이 되었다가 고려 태조 때인 940년(태조 23)에 풍각으로 개칭되었다고 하여 앞의 두 기록보다 더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이처럼 관련 기사들이 조금씩 다르지만 확실한 것은 풍각현의 신라 때 이름은 상화촌현이었고 고려 초에 풍각으로 개칭 후 1018년에 밀성군의 영현이 되었다는 점은 공통된 사실이라고 하겠다.
한편 조선 시대에 와서 풍각현은 『대동지지』에 의하면 “현종 연간(1641∼1674)에 대구부에 내속되었다.”라고 하였지만, 『숙종실록』에 따르면 “숙종 10년(1684)에 밀양의 풍각 4개 면을 대구에 갈라 붙였다.”라고 하여 대구 편입 시기가 서로 다르게 기록되어 있다.
신라의 상화촌현이었다가, 757년 유산현으로 개칭 후 화왕군의 영현이 되었다. 940년 풍각현이 되었다가 1018년 밀성군에 내속되었다. 조선 시대에는 대구로 경상 감영이 옮겨오고 영역을 확장함에 따라 1684년(숙종 10)에 밀양의 풍각 4개 면이 대구에 편입되었다. 1906년 옛 풍각현 지역인 대구군 소속 각북면·각현내면·각초동면·각이동면 이상 4개 면이 청도군으로 이속되었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현내면 일원과 이동면 일원을 합쳐서 풍각면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