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500201
한자 水也里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경상북도 청도군 이서면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윤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설 시기/일시 1914년 - 청도군 이서면 수야동 개설
변천 시기/일시 1988년 - 청도군 이서면 수야동에서 청도군 이서면 수야리로 개칭
성격 법정리
면적 6.81㎢
가구수 200가구
인구[남,여] 443명[남자 214명, 여자 229명]

[정의]

경상북도 청도군 이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개설]

이서면의 중심에 자리 잡고 있다. 조선 시대의 수야리는 인적·물적 중심이 되었던 곳으로 알려져 있다.

[명칭 유래]

옛 지명은 물야(勿也)였는데 그 연유는 정확히 알 수 없다. 수야는 골짜기가 세 곳에서 내려와 계곡과 산의 모습이 ‘야(也)’ 자 모양이라고 해서 ‘수야’라고 한다는 말도 있다.

마을로는 행정(杏亭) 마을, 신기, 중리, 명곡(明谷), 덕령, 이천(耳川) 등이 있다. 행정 마을은 박하담의 조부인 소고공(嘯皐公) 박건(朴乾)이 심은 은행나무가 자라서 정자를 이루어 행정 마을이라고 했다. 행정 마을 앞쪽에 생긴 새로 생긴 마을이 신기이다. 신기는 행정과 덕령 등 다른 마을이 생긴 뒤에 새로 생긴 마을이다. 신기 아래에 있는 마을이 중리로 들 가운데 있다고 해서 중리라는 이름이 붙었다.

명곡은 발래미라고 하는데 그 뜻은 전해지지 않고 다만 발래미를 한자로 표기하면서 명곡이라고 했다고 한다. 덕령은 금촌리로 넘어가는 낮은 고개 아래에 자리 잡은 마을이다. 아마도 이 고개와 관련되어 덕령이라는 이름이 붙여진 것 같다고 전한다.

골짜기 맨 안쪽에 자리 잡은 마을은 이천이다. 이 마을 선비들의 문집이나 묘비에는 이화(耳火)라고 쓰여 있으나 그 뜻을 알 수가 없다. 다른 이름으로는 귀일(歸一)이라고도 한다. 병재(甁齋) 박하징(朴河澄)이 다른 곳에서 돌아왔다고 해서 귀일이라는 이름의 붙여졌다고 하고, 소요당(逍遙堂) 박하담(朴河淡)성와 박하청, 병재(甁齋) 박하징(朴河澄) 3형제 중, 위의 둘은 산동의 선마루로 가서 정착을 하고 막내를 이곳에 두고 가서 뒤돌아보았다고 해서 귀일이라고 했다고 전한다.

[형성 및 변천]

본래 청도군 상북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명곡동, 중리동, 명동, 덕령동을 병합하여 수야동이라 하고 이서면에 편입하였다. 1988년 수야동에서 수야리로 이름을 바꾸었다.

1439년 밀양 박씨 박건이 밀양에서 이주하여 마을에 정착하였고, 40년 후인 1479년 역시 밀양 박씨 박하담이 정착하여 터를 잡았다고 한다. 지금도 밀양 박씨가 많이 거주하는 집성촌이다.

[자연 환경]

지리적으로 이서면의 중심 부분에 있는 수야리는 골짜기 양지바른 곳에 위치하고 있다. 비교적 넓은 지역을 안고 있으며 산들이 대부분 나지막하게 형성되어 있다. 북쪽 삼성산이 높고, 서쪽에는 관음산이 낮게 있어 서풍을 막아주고 있다. 동편의 덕령 동쪽으로 내려간 줄기는 학산리에서 멈춘다. 물이 귀하여 물야라고도 했다는 수야리는 지금은 저수지와 관정으로 수리 안전답을 이루고 있으며, 경지 정리가 덕령과 행정 앞까지 모두 말끔히 정리되어 기계 농사를 지을 수 있게 되어 있다. 넓은 들에는 사과와 복숭아나무를 식재하여 과수 농사가 주를 이루고 있다.

[현황]

2012년 6월 현재 면적은 6.81㎢이며, 총 200가구에 443명[남자 214명, 여자 229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 동쪽은 이서면 문수리·흥선리·금촌리, 서쪽은 이서면 칠엽리, 남쪽은 이서면 대전리·각계리·학산리, 북쪽은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우록리와 경계를 접하고 있다. 행정리는 수야 1∼4리가 있고, 행정(杏亭) 마을, 신기, 중리, 명곡(明谷), 덕령, 이천(耳川) 등의 자연 마을이 있다. 행정 마을은 6개의 자연 마을 가운데 가장 중심 지역이라고 할 수 있으며 귀일에는 명동 서사가 있다.

마을 주변의 경작지는 대부분 과수 농사를 하고 있다. 마을이 산자락에 위치하고 있어 남동쪽으로 나 있는 금촌리, 학산리까지 나와야 국가 지원 지방도 30호선과 만날 수 있다.

이서면 내에서 가장 많은 성씨들의 재실(齋室)과 이름난 사람들의 묘(墓)가 많이 있다. 행정 마을 뒷산에는 탁영(濯纓) 김일손(金馹孫)과 그의 후손들의 묘가 있고, 그 아래 묘재가 세워져 있다. 마을의 서쪽은 관음골이라 하며, 박하청의 묘가 있는 앞은 옛날 관음사(觀音寺)가 있던 곳이다. 수야리에는 절터가 여러 곳이 있는데 그중 에 가장 큰 절터는 귀일 안 골짜기에 있고, 또 절골이라고 하는 골짜기에는 암자 터가 있으며, 불당골이라는 곳에도 암자 터가 있다

수야리는 산골에서는 비교적 넓은 가지고 있으나 물이 귀하여 논농사를 짓는데 장애가 많았다. 일제 강점기에 수야지를 조성하던 중 해방이 되고, 이후 6·25 전쟁이 일어나서 채 완성되지 못하다가 전쟁 이후 군대 장비를 동원하여 마무리하였다.

지금은 살기 좋은 곳으로 인근의 대도시에서 이곳으로 전원생활을 즐기기 위해서 들어오는 예술인들이 하나둘 서서히 자리 잡아 가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