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전기 청도 출신의 문신. 김일손은 청도 출신 중에서 후대에 가장 큰 영향력을 끼친 인물 중 하나이다. 1498년 스승 김종직이 쓴 「조의제문(弔義帝文)」을 사초(史草)에 실은 것이 발단이 되어 일어난 무오사화(戊午士禍)로 인해 사형을 당하였다. 김일손의 죽음은 김해 김씨 일족뿐만 아니라 지역 인사들에게 많은 영향을 끼쳐 청도 지역에 16세기 이후 은거의 풍토가 유행하는 직접적...
-
조선 전기 청도 출신의 문신인 탁영 김일손의 시문집 판목. 『탁영 선생 문집(濯纓 先生 文集)』 판목은 탁영(濯纓) 김일손[1464∼1498]의 시문집 판목이다. 『탁영 선생 문집』 판목은 정확한 경위는 알 수 없지만, 원래 한 곳에 보관되어 있다가 분산된 것으로 보인다. 한국 국학 진흥원에 일괄 기탁하기 이전에 『탁영 선생 문집』 판목은 탁영 종택과 모계재[김형수]에 각기 분산...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탁영 종택에 소장되어 있는 서적 삽도 고무 판화. 탁영 종택에 소장된 고무 판화는 모두 9점으로서 『자계 서원지(紫溪書院誌)』와 족보를 편찬할 때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그림의 내용은 「주사(廚舍)」, 「탁영대(濯纓臺)」, 「비범석탑부해출도(緋帆石塔浮海出圖)」, 「자영김합자천강도(紫纓金榼自天降圖)」, 「경주흥무왕릉도(慶州興武王陵圖)」, 「남계공급문민공묘도(南...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토평리에 있는 탁영 종택에 소장된 조선 시대의 고문서. 김해 김씨(金海金氏) 일문은 조선 시대부터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토평리에 세거해 오고 있다. 특히 무오사화 당시 화를 입은 탁영(濯纓) 김일손(金馹孫)[1464∼1498]을 비롯하여, 16세기 전후 다수의 사림파 인사들을 배출시키며 청도 지역의 명문 사족 가문으로 자리 잡았다. 김일손의 후손들도 청도...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토평리 탁영 종택에 소장된 32종 46책의 전적. 탁영 종택에는 32종 46책의 전적이 소장되어 있는데, 그 성격상 자계 서원(紫溪書院) 소장본과 종택 소장본으로 나눌 수 있다. 전적은 원록(院錄), 원규(院規), 유안(儒案), 청금안(靑衿案), 원안(院案), 강회계안(講會契案), 완의문(完議文) 등과 같이 서원의 인적 구성, 운영, 제향 인물과 관련된 자료...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토평리 탁영 종택 소장 현판. 탁영 종택 소장 현판에는 「모천(慕川)」과 「분정기(分定記)」가 있다. 「모천」은 김일손의 12대손 김창윤(金昌潤)[1809∼1886]의 호이다. 판각 연대는 알 수 없으며, 현재 영모각에 보관 중이다. 「분정기」는 종택에서 불천위 제사 등의 각종 제의를 치를 때 집사를 분정하고, 그들의 명단을 붙여 놓는 판이다. 탁영 종택 소...
-
1925년에 제작된 조선 전기 청도 출신의 문신인 탁영 김일손의 시문집 판목. 『탁영집(濯纓集)』 판목은 탁영 김일손의 시문집으로 총 89장이 있다. 이 판목은 1925년에 본집 8권, 속집 2권 등 10권 4책의 목판본으로 간행한 육간본(六刊本)이다. 판목의 결락은 없으나 파열판과 파기판이 일부 있다. 이 판목은 기존에 연보가 빠지고, 「청종사성무소(請從祀聖廡疏)」 4편 등이 추...
-
조선 후기 청도의 검(劍)의 명장(名匠). 탄재(炭齋)는 경상북도 청도군에 살던 검을 만드는 장인이다. 성은 신(申)이고, 이름은 알려져 있지 않아 탄재라는 호로 불렸다. 조선 후기에는 청도군에서 생산된 보검(寶劍)과 보도(寶刀)를 으뜸으로 쳤는데, 이는 탄재와 그의 제자들에 의해 이룩된 성과임이 여러 문헌에 전한다. 미천한 신분이라 가계는 알 수 없다. 성은 신(申)이고, 이름...
-
경상북도 청도군에 있는 주로 사찰에 속해 있는 불교 조형물. 탑이란 본래 석가모니 부처님의 유골을 봉안했던 인도의 스투파에서 유래된 것이다. 탑이라는 명칭도 스투파를 소리 나는 대로 옮긴 말인 탑파(塔婆)의 약칭이다. 스투파는 석가모니의 사리를 봉안하기 위해 토석을 쌓아올린 분묘로 인도의 산치에는 3기의 불탑이 남아 있다. 이 중 산치 1호 탑은 거대한 원분형으로 4대 탑문과 난간...
-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봉기리에 있는 연사 및 가공사 제조업체. 1999년에 설립된 가연사를 주요 취급 품목으로 하는 기업이다. 풍각 농공 단지 내에 위치해 있으며, 2012년 현재 청도 상공인 협의회 가입 단체이다. 1999년 7월 1일에 회사를 설립한 후 계속 이어져오고 있다. 의류용 연사인 가연사를 제조하고 있다. 2014년 12월 31일 기준 납입자본금은 3억 원, 매출액은...
-
조선 전기에 청도 군수를 지낸 문신. 안구는 조선 전기 문신으로, 부모 봉양을 위해 청도 군수로 부임하였다. 부임 초부터 백성을 잘 보살피고 선정을 베푼 공로를 인정받아 포상을 받았다.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사중(思仲), 호는 태만(苔巒). 할아버지는 시직(侍直) 안숙량(安淑良)이고, 아버지는 진사 안보문(安普文)이다. 어머니는 사인(舍人) 정지주(鄭至周)의 딸이다. 안구(安...
-
경상북도 청도군에서 서식하고 있는 제비꽃과의 여러해살이풀. 태백제비꽃은 우리나라 중부 이남의 산지에서 나는 다년생 초본 식물이다. 생육 환경은 양지 혹은 반양지의 물 빠짐이 좋은 곳에 자란다. 주로 관상용으로 쓰이며, 잎은 약용으로 쓰인다. 태백씨름꽃, 사향씨름꽃, 태백오랑케 등으로도 불린다. 1996년 산림청과 임업 연구원이 희귀 및 멸종 위기 식물로 지정해 보호하고 있다. 꽃이...
-
경상북도 청도군에서 서식하고 있는 제비꽃과의 여러해살이풀. 태백제비꽃은 우리나라 중부 이남의 산지에서 나는 다년생 초본 식물이다. 생육 환경은 양지 혹은 반양지의 물 빠짐이 좋은 곳에 자란다. 주로 관상용으로 쓰이며, 잎은 약용으로 쓰인다. 태백씨름꽃, 사향씨름꽃, 태백오랑케 등으로도 불린다. 1996년 산림청과 임업 연구원이 희귀 및 멸종 위기 식물로 지정해 보호하고 있다. 꽃이...
-
경상북도 청도군에서 서식하고 있는 제비꽃과의 여러해살이풀. 태백제비꽃은 우리나라 중부 이남의 산지에서 나는 다년생 초본 식물이다. 생육 환경은 양지 혹은 반양지의 물 빠짐이 좋은 곳에 자란다. 주로 관상용으로 쓰이며, 잎은 약용으로 쓰인다. 태백씨름꽃, 사향씨름꽃, 태백오랑케 등으로도 불린다. 1996년 산림청과 임업 연구원이 희귀 및 멸종 위기 식물로 지정해 보호하고 있다. 꽃이...
-
고려 말 후손이 청도로 이주한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초명은 천익(天翊), 자는 태시(太始), 호는 송은(松隱). 판도 판서(版圖判書) 박영균(朴永均)의 아들이며, 모친은 능주 구씨(綾州具氏)로 좌정승 구위(具褘)의 딸이다. 박익(朴翊)[1332∼1398]은 고려의 신하로서 1386년(우왕 12) 동경(東京) 판관(判官) 재직 중 권농 방어사를 겸했다. 그 후 사재 소감(司宰...
-
고려 말 후손이 청도로 이주한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초명은 천익(天翊), 자는 태시(太始), 호는 송은(松隱). 판도 판서(版圖判書) 박영균(朴永均)의 아들이며, 모친은 능주 구씨(綾州具氏)로 좌정승 구위(具褘)의 딸이다. 박익(朴翊)[1332∼1398]은 고려의 신하로서 1386년(우왕 12) 동경(東京) 판관(判官) 재직 중 권농 방어사를 겸했다. 그 후 사재 소감(司宰...
-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용산리에 있는 재실. 윤종충은 자가 효겸(孝謙), 호는 태안(泰安)이다. 조선 명종조에 삭주 부사, 형조 참의의 벼슬을 지냈고, 파평 윤씨 청도 입향조이다. 매전면 용산리는 대략 1580년경에 파평 윤씨 윤흥극(尹興極)이 입촌하여 정착한 곳이다. 매전면에서 지방도 987호선을 타고 남쪽으로 2.5㎞ 가량 내려가 북지리 북지 마을을 지나면 신도로와 구도로가 갈...
-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월곡리에 있는 장애인 복지관. 청도군 장애인 복지 회관에서 위탁 운영하는 태양의 집은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장애인 건강의 개선에 중점을 두고, 장애인의 완전한 사회 참여를 지향하며, 장애인의 사기 진작과 재활 증진에 기여하고 있다. 태양의 집은 청도군 내에 거주하는 장애인들에게 사회 활동과 더불어 참여 기회를 확대하고, 재활 증진을 통한 청도 지역 장...
-
청도군 지역에서 철도 또는 도로가 산지 아래를 뚫어 지나는 지하의 통로. 청도군을 지나는 철도 또는 도로에 연결된 터널은 2012년 현재 도로 터널 7개와 철도 터널 4개소가 있다. 청도군의 최초 터널은 철도 터널이다. 1905년 경부선 개통과 함께 만들어진 남성현 터널은 화양읍 송금리를 지나 청도읍을 지나는 것으로 터널 길이 1,203.35m, 선로 기울기 20/1,000, 곡선...
-
경상북도 청도 지역어에서 문법적 관계를 표시하거나 그 말의 뜻을 도와주는 품사. 조사(助詞)는 체언이나 부사, 어미 따위에 붙어 그 말과 다른 말과의 문법적 관계를 표시하거나 그 말의 뜻을 도와주는 품사를 말한다. 조사는 크게 격조사, 접속 조사, 보조사로 나눌 수 있다. 같은 말로 ‘걸림씨, 관계사, 관계어, 토, 토씨’가 있다. 조사의 격체계(체언에 붙어 다른 말에 대한 관계를...
-
경상북도 청도 지역에서 출토된 선사 시대부터 통일 신라 때까지의 토기. 청도 지역에서는 일찍이 신석기 시대부터 토기가 제작·사용되었다는 것을 오진리 바위 그늘[岩蔭] 유적의 조사를 통해 밝혀졌다. 이후 청동기 시대와 초기 철기 시대, 원삼국 시대, 삼국 시대, 통일 신라에 이르기까지 이 지역 주민들이 남긴 다종다양한 토기가 알려져 있다. 청도 지역에서 빗살무늬 토기가 출토된 유적으...
-
경상북도 청도군에서 친환경 방식으로 생산되는 가지과 한해살이풀의 열매. 토마토의 원산지는 남아메리카 서부 고원 지대로 전세계적으로 생산되고 있는 토마토의 종류는 5,000가지가 넘는다. 우리나라에서는 이 중 약 20여 종을 재배하고 있다. 오늘날에도 끊임없는 교배를 통해 좋은 품질과 뛰어난 맛, 풍부한 영양을 가진 새로운 종자들을 만들어내고 있다. 토마토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에는...
-
고려 시대부터 청도 지역에 기반을 둔 토착 성씨. 1432년에 간행된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와 1530년에 간행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청도의 토착 성씨로 김(金)·백(白)·(申)·이(李)·조(曺)씨가, 내성(來姓)은 최(崔)·손(孫) 등의 성씨가 기록되어 있다. 청도의 사찬 군읍지인 『오산지(鰲山誌)』는 최씨와 손씨도 토성으로 기록하고 있으나 앞선...
-
경상북도 청도 지역어에서 문법적 관계를 표시하거나 그 말의 뜻을 도와주는 품사. 조사(助詞)는 체언이나 부사, 어미 따위에 붙어 그 말과 다른 말과의 문법적 관계를 표시하거나 그 말의 뜻을 도와주는 품사를 말한다. 조사는 크게 격조사, 접속 조사, 보조사로 나눌 수 있다. 같은 말로 ‘걸림씨, 관계사, 관계어, 토, 토씨’가 있다. 조사의 격체계(체언에 붙어 다른 말에 대한 관계를...
-
경상북도 청도군 지역에서 수분과 무기물질, 유기물질을 포함한 지표를 이루고 있는 부드러운 층. 토양은 지각을 덮고 있는 기반암이 풍화된 풍화 물질에 각종 생물체의 유해 부식물들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미고결 물질을 말한다. 표층 부근의 생물체의 활동과 대기의 온도·지표 수분 등의 작용을 강하게 받으며, 암석층이 풍화되어 생성된 유기물의 부식층이 있어 식물의 성장이 가능한 지역이다. 청...
-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송서리에서 출토한 삼국 시대의 토제 다리미. 다리미는 열과 압력을 가하여 천이나 옷, 피혁 등의 구겨진 주름을 펴는 데 사용되는 기구로, 속에 숯불을 담아 달구었기 때문에 ‘울두(熨斗)’ 또는 ‘화두(火斗)’라고도 한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고대의 다리미는 청동으로 만든 것과 흙을 구워 만든 두 가지 재질의 것이 보이는데 송서리 돌덧널 무덤[石槨墓]...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토평리에 있는 천주교 청도 성당 소속 공소. 공소(公所)는 본당(本堂)보다 작은 교회 단위로서 신부가 상주하지 않기 때문에 미사가 집전되지 못하고 대신에 공소 회장을 중심으로 첨례를 보거나 공소 예절이 행해지며, 정기적인 신부의 방문을 통해서만 성사(聖事)가 집행된다. 구룡 공소에서 경산 하양으로 전파된 신앙이 1900년대 초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토평 지...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에 소속된 법정리 화양읍의 가장 북서쪽에 있는 토평리는 이서면과 화양읍의 경계 지역에 위치한 마을로서 과거 이서국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토평리의 마을로는 백곡과 와촌 그리고 은행정이 있다. 토평 1리 백곡은 평지에서 쏙 들어간 곳에 자리 잡고 있는 마을이다. 전하는 말에 의하면 옥가락지처럼 둥그런 지형 속에 박혀 있는 동네라 해서 박곡이라고 한 것이...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토평리에 있는 고분 떼. 토평리 고분 떼는 화양읍 토평리 산9 일대와 이서면 고철리 산11-11 일대 구릉상에 위치하는 고분군으로 2003년 문화 유적 분포 지도 사업에 의해 알려져 있다. 당시 토평리 백곡 마을을 감싸고 있는 해발 100∼120m 구릉 일대를 고분군으로 추정하였으며, 관련된 유구와 유물이 확인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리고 구릉 동편 정상부에...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토평리에 있는 김해 김씨 집성 마을. 『청도군 읍지(淸道郡邑誌)』[1834]에 처음으로 토평이라고 동명이 기록되어 있으며, 이전의 자료는 확인할 수 없다. 일설에서는 토평리 일대의 토질이 흙으로 형성되어 있어, 돌이 귀하여 토평으로 불리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탁영(濯纓) 김일손(金馹孫)의 부친인 남계(南溪) 김맹(金孟) 때 토평리 백곡으로 입향했다. 백곡...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토평리에 있는 삼국 시대 유물 산포지. 토평리 유물 산포지는 행정 구역상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토평리 175-1 일대에 해당된다. 이서면 양원리 별장 터에서 남쪽으로 500m 지점에 토평리와 해발 100∼110m의 구릉이 있는데, 이 일대가 유물 산포지이다. 이곳의 북쪽 일부와 서쪽은 대곡천과 더불어 넓은 평야 지대를 이루고, 동쪽으로는 맞은편 능선 사이에...
-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오산리·금천리와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정대리로 넘어가는 고개. 청도군 각북면에서 대구 가창면으로 넘어가는 여섯 개의 고개, 즉 헐티재, 원계재, 통점령, 무등재, 상심이 고개, 율치 중 가장 서쪽에 위치한 고개이다. 현재는 각북면 오산리에서 대구 달성군 가창면 정대리로 연결되는 고개로 알려진 헐티재는 과거 금천리에서 정대리로 넘어가는 고개였다. 1980년...
-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금곡리에 있는 산. 높이 677.2m의 험준한 바위산으로 정상부에 암벽이 병풍처럼 둘러져 있어 커다란 함(函) 모양을 이루고 있어 통함산(筒函山)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오산지(鰲山志)』에는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에 매전 부근에 소산이 그려져 있는데 소산이 통내산으로 추정된다고 기록되어 있고, 조선 총독부에서 제작한 『조선 지형도(朝鮮地形圖)』에는 통내산...
-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금곡리에 있는 산. 높이 677.2m의 험준한 바위산으로 정상부에 암벽이 병풍처럼 둘러져 있어 커다란 함(函) 모양을 이루고 있어 통함산(筒函山)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오산지(鰲山志)』에는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에 매전 부근에 소산이 그려져 있는데 소산이 통내산으로 추정된다고 기록되어 있고, 조선 총독부에서 제작한 『조선 지형도(朝鮮地形圖)』에는 통내산...
-
조선 전기 청도 출신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자는 원윤(遠允), 호는 퇴평(退平). 아들이 절효(節孝) 김극일(金克一)로 정려를 받았다. 김서(金㥠)[?∼?]는 조선 태종 때에 추성익대 좌리공신(推誠翊戴佐理功臣)으로 분릉군(盆陵君)에 봉해지고, 의흥 현감(義興縣監)을 제수 받아 청렴하게 선정을 베푸니 백성들이 칭송하였다고 한다. 퇴임 후 청도의 자계(紫溪)에서 자손을 가르치...
-
경상북도 청도군에서 생산·판매되는 우수하고 특수한 산물. 청도군은 한반도를 남북으로 뻗어 있는 태백산맥의 남단에 자리잡고 있으며, 중앙의 곰티재와 용각산 및 그 지맥을 중심으로 동서로 구분되어 있다. 산동이 산악 지대라면 산서는 비교적 넓은 들이 펼쳐져 있다. 청정 자연환경을 보유하고 있는 청도에는 질 좋고 다양한 농업 특산물들이 생산되고 있다. 특히 안개가 많이 끼는 독특한 기후...
-
경상북도 청도군에서 활동하고 있는 청도 특산물 관련 연구회. 청도군의 특산물 각 품목에 대해 농업 기술 교류 및 농가 소득 증대를 위해 결성된 모임으로 현재 청도에는 25개의 연구회가 활동 중이다. 약 900여 명의 회원들이 참여해 정기적인 기술 교육 및 선진지 견학 등을 통해 각 작물의 품질과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청도군에서 활동하고 있는 연구회는 2012년 말...
-
경상북도 청도군에서 신체적·정신적·사회적 발달의 장애 등으로 인하여 특수한 교육적 요구를 필요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교육. 특수 교육이란 특수 교육 대상자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가능성을 최대한 신장시키는 데 그 목표를 두고, 궁극적으로는 독립된 생활로 유용하고 행복한 삶을 영위하도록 기초를 닦게 하는 데 있다. 1977년 12월 「특수 교육 진흥법」이 제정, 공포되면서 특수...
-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봉기리에 있는 조립식 건축 자제 제조업체. 2003년에 설립된 건축용 조립식 패널을 주요 취급 품목으로 제조하는 기업이다. 풍각 농공 단지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2012년 현재 청도 상공인 협의회 가입 단체이다. 2003년 8월 11일에 설립되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조립식 패널 및 기타 구조용 금속 제품을 제조하고 있다. 2008년 5월 27일에 벤처...
-
청도군의 읍면 내, 읍면 간, 또는 주변의 다른 시군 간을 연결하는 교통로가 산지를 넘는 산등성이 부분. 청도군은 낙동강의 지류인 밀양강의 최상류 지역이며 대부분 산지로 되어 있다. 동창천은 동부의 운문면·금천면·매전면을 흐르고, 청도천은 서부의 청도읍·화양읍, 이서면·각남면·각북면·풍각면을 적시고 있다. 동창천과 청도천은 청도읍 유호리에서 합류하여 밀양강으로 유입한다. 따라서 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