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501950 |
---|---|
한자 | 安國洞-由來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설화 |
지역 |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흑석리 |
집필자 | 박유미 |
수록|간행 시기/일시 | 1991년 - 「안국동의 유래」 『청도 군지』에 수록 |
---|---|
관련 지명 | 안국 -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흑석리![]() |
성격 | 설화|전설|지명 전설 |
주요 등장 인물 | 김안국 |
모티프 유형 | 유래 |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흑석리의 안국 마을에 전해 내려오는 지명 유래 이야기.
「안국동의 유래」는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흑석리의 자연 마을인 안국 마을에 전해 내려오는 지명 유래에 관한 전설이다.
1991년 청도군에서 발간한 『청도 군지』에 수록되어 있다.
청도군 풍각면 흑석리에 있는 안국 마을은 모개동이라고도 한다. 안국 마을은 대대로 남원(南原) 양씨(梁氏)의 세거지(世居地)였다. 조선 중종(中宗) 때 유명한 문신이자 학자이던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1478∼1543]이 경상 감사로 부임해서 보니 마을 이름이 자신의 이름과 같아 좋아하였다고 한다. 이에 김안국은 자신의 호(號)인 모재(慕齋)를 따서 이 동네를 모재동이라고도 칭하였다. 모재동은 그 후 모개동으로 변하였다.
안국 마을에는 안국암(安國岩)이라는 큰 바위가 있다. 지금은 냇물도 뒷산의 나무들도 사라지고 없지만 옛날에는 맑은 냇물이 흐르다가 이 바위 밑에서 소를 이루어 많은 사람들이 이곳을 찾았다고 한다.
주요 모티프는 ‘유래(由來)’이다. 안국 마을의 다른 이름인 모개동과 안국암의 유래를 말하고 있다. 특히 「안국동의 유래」는 김안국이라는 역사적 인물을 증거로 두어 역사성 및 사실성과 진실성을 보장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