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501019
한자 李育
이칭/별칭 원숙,모헌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경상북도 청도군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박홍갑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활동 시기/일시 1493년 - 이육 안기도 찰방 제수
활동 시기/일시 1507년 - 이육 사마시 진사과 합격
거주|이주지 이육 거주지 - 경상북도 안동군
거주|이주지 이육 이주지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유등리지도보기
묘소|단소 묘소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유등리
사당|배향지 추원재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유등리
사당|배향지 원산재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유등리
성격 문신
성별
본관 고성
대표 관직 찰방

[정의]

조선 전기 청도 지역으로 이주한 문신.

[가계]

본관은 고성(固城). 자는 원숙(元淑), 호는 모헌(慕軒). 증조할아버지는 좌의정 이원(李原)이고, 아버지는 현감 이평(李泙)이며, 어머니는 허추(許樞)의 딸 숙부인 양천 허씨이다. 부인은 숙인(淑人) 흥해 최씨이다. 사림으로 이름 높았던 쌍매당 이윤(李胤)망헌 이주(李冑)의 아우이다.

[활동 사항]

이육(李育)[?∼?]은 고성 이씨 청도 입향조이다. 두 형 이윤이주를 대신해 출사를 포기하고 아버지의 시묘 살이를 마친 후 1493년(성종 24) 문음으로 안기도 찰방(察訪)에 제수되었다.

그 후 연산군 치하에서 무오사화갑자사화가 연달아 일어나 두 형과 동생이 귀양 가고 죽는 등 참혹한 상황에 이르자, 세상을 피하고자 안동에서 청도로 내려와 유곡 죽림촌(竹林村)에 정착하였다. 중종반정이 일어난 1507년(중종 2) 사마시 진사과에 합격하였다. 복거지로 삼은 청도군 유등리유호 연지에 군자정(君子亭)을 지어 독서와 강학을 하였다.

[학문과 저술]

두 형 이윤·이주와 함께 점필재 김종직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성리학적인 행실 윤리를 잘 실천하여 사림으로부터 칭송을 받았다.

[묘소]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유등리에 있으며, 서산(西山) 김흥락(金興洛)이 지은 묘비가 세워져 있다.

[상훈과 추모]

향도 사림이 강계(講契)를 모아 매년 8월 18일에 추모와 유덕(遺德)을 기리고 있다. 청도군 화양읍 유등리에 추원재(追遠齋)와 원산재(院山齋) 등의 묘재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