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500908 |
---|---|
한자 | 晋州邢氏 |
분야 | 성씨·인물/ 성씨·세거지 |
유형 | 성씨/성씨 |
지역 | 경상북도 청도군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강래업 |
본관 | 진주 형씨 본관 - 경상남도 진주시 |
---|---|
세거|집성지 | 진주 형씨 집성지 -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부야리 가마실![]() |
성씨 시조 | 형옹 |
입향 시조 | 형대걸 |
형옹(邢顒)을 시조로 하고 형대걸(邢大傑)을 입향조로 하는 경상북도 청도군의 세거 성씨.
진주 형씨(晋州邢氏)의 시조 형옹(邢顒)은 중국 당(唐)나라 태종(太宗) 때 사람으로, 고구려 영류왕(榮留王)의 요청에 따라 8학사(八學士)의 한 사람으로 평양에 들어와 정착하였다. 형웅의 13세손 형방(邢昉)이 고려 명종(明宗) 때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냈고, 15세손 형공미(邢公美)가 충렬왕(忠烈王) 때 왜구 정벌에 공을 세우고 진양군(晋陽君)에 봉해졌다. 이에 후손들이 형방을 일세조(一世祖)로 하고 진주(晋州)를 본관으로 삼아 세계(世系)를 이어오고 있다.
1700년대 초 밀양에 살던 형대걸(邢大傑)이 청도군 각남면 사리골로 이거하여 정착하였다. 1800년대 중엽에 후손인 형주일(邢周一)이 청도읍 부야리 가마실로 이주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2000년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청도군 내에 13가구 46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2012년 현재 청도읍 부야리 가마실에 10가구 정도가 거주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