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500907 |
---|---|
한자 | 晉州姜氏 |
분야 | 성씨·인물/ 성씨·세거지 |
유형 | 성씨/성씨 |
지역 | 경상북도 청도군 |
시대 | 조선/조선 |
집필자 | 강래업 |
본관 | 진주 강씨 본관 - 경상남도 진주시 |
---|---|
입향지 | 진주 강씨 입향지 -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명대리![]() |
세거|집성지 | 진주 강씨 세거지 - 경상북도 청도군 각남면 옥산 2리![]() ![]() |
성씨 시조 | 강이식 |
입향 시조 | 강무년 |
강이식(姜以式)을 시조로 하고 강무년(姜茂年)을 입향조로 하는 경상북도 청도군의 세거 성씨.
진주 강씨(晉州姜氏) 시조 강이식(姜以式)은 고구려 때 많은 전공을 세운 인물이다. 597년(영양왕 8) 수(隋)나라 문제(文帝)가 쳐들어오자, 정병 5만을 이끌고 임유관에서 수나라 군사 30만을 격퇴하였다. 603년 수나라 양제가 군사 100만으로 다시 쳐들어 왔을 때도 을지문덕과 함께 요동성 살수[현 청천강] 등의 싸움에서 수나라 군대를 대파하는 전공을 세웠다. 강이식의 후손인 강진(姜縉)이 진양후(晉陽侯)로 봉해지면서 본관을 진주[옛 진양]로 하였다.
기록으로는 진주를 비롯하여 금천·안동·백천 등 9본이 전해지나 모두가 진주 강씨에서 파생된 것으로, 진주 강씨의 시조 강이식은 모든 강씨의 도시조가 된다.
진주 강씨는 조선 시대에만 정승 5명, 대제학 1명, 원수 및 장군 25명, 명신과 공신 51명, 문과 급제자 227명, 청백리 7명을 배출하는 등 번성을 누렸다.
조선 선조 때 경기도 양주에 살던 강무년(姜茂年)이 청도군 각북면 명대리에 입향하였고, 강무년의 고손자인 강재호가 각남면 옥산리에 이거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2000년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청도군 내에 256가구 719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2012년 현재 각남면 옥산 2리에 10여 가구, 이서면 흥선리에 10여 가구가 집성촌을 이루어 거주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