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500857 |
---|---|
한자 | 德寺靈山殿上樑文 |
분야 | 종교/불교,문화유산/기록 유산 |
유형 | 문헌/문서 |
지역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소라리 산1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남궁현 |
작성 시기/일시 | 1843년![]() |
---|---|
소장처 | 덕사 주지실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소라리 산1![]() |
성격 | 상량문 |
용도 | 건축물의 내력 및 공역 기록 |
1843년에 작성된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에 있는 덕사 영산전의 상량문.
덕사(德寺)가 창건된 때는 신라 말 고려 초라고 전해지나 문헌이나 고증이 없어 자세한 사실은 알 길이 없고, 현재의 덕사는 조선 시대 선조 연간에 세워졌다. 청도 군수로 부임한 황응규가 1576년(선조 9)에 주구산(走狗山)의 산세는 풍수지리상 개가 달아나는 형상이므로 떡을 주어 개를 머물게 하고자 절을 짓고 ‘떡절’, 한자로는 ‘병사(餠寺)’라고 표기하였는데, 그 뒤로 변화되어 ‘덕사(德寺)’로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영산전에는 석가불, 미륵보살, 제화갈라 보살 등 삼존불을 중심으로 나한상 등 총 21구가 좌우로 배열되어 있다.
「덕사 영산전 상량문(德寺 靈山殿 上樑文)」은 1834년에 작성되었다. 상량문은 기둥에 보를 얹고 그 위에 마룻대를 올릴 때 이를 축복하는 글로서 새로 짓거나 고친 집의 내력, 공역(工役) 일시 등을 적어 둔다.
청도 덕사 영산전은 2006년 다시 지어졌으며 상량문은 덕사 주지실에 보관되고 있다.
상량문에는 ‘조선 헌종 9년 계묘년 5월 3일 사시(巳時)에 견주(堅柱)하고, 그 달 7일 오시(午時)에 상량을 하였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덕사 영산전 상량문」은 청도 덕사 영산전의 건축 내력을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