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500761 |
---|---|
한자 | 小川里- |
이칭/별칭 | 소천리 각석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지역 |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소천리 261-2 |
집필자 | 최인표 |
현 소재지 | 소천리 새김글 -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소천리 261-2![]() |
---|---|
성격 | 새김글 |
양식 | 음각 |
관련 인물 | 박응곤|손중웅 |
소유자 | 청도군 |
관리자 | 청도군 |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소천리에 있는 바위 새김글.
금천면 소천리 석현 마을 부일천 주변에 있는 바위에 새겨진 새김글이다. 새김글은 마을 쉼터 옆 바위에서부터 약 50m에 걸친 부일천변 자연 암벽에 새겨져 있다. 새김글의 내용은 ‘만송정(晩松亭)’, ‘일신탕(日新湯)’, ‘첨앙대(瞻仰臺)’ 등 경관을 표현한 것과 박응곤(朴應坤), 진수(瑨秀), 영수(英秀)의 시구 4개 등이다.
박응곤과 영수의 시에서 ‘병술 원춘(丙戌 元春)’과 ‘신사 칠월 일(辛巳 七月 日)’이라는 새김글 조성 시기를 볼 수 있으나 박응곤, 영수 등의 인물 정보가 분명하지 않아 정확한 조성 시기를 확인하기 어렵다. 대개 조선 말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금천면사무소에서 영천, 경주 방향 국도 20호선을 따라가다 동곡 사거리에서 대구, 경산 방면 지방도 919호선을 따라가면 소천리에 이른다. 여기서 대종리로 가는 소천 대종리길을 따라가면 된다. 새김글은 석현 마을 앞에 있는 석현교 옆 바위에 있다.
일정한 양식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경관을 표현한 ‘만송정’, ‘일신탕’, ‘첨앙대’ 등은 자연 바위 면에 큰 글씨로 음각하였고, 시구는 거친 바위 면을 대강 정리한 후 음각하였다.
경관이 좋아 사람들이 많이 찾는 곳에 위치하고 있다. 보호 시설이나 표지판은 없지만 보존 상태가 좋아 모든 글자를 읽을 수 있고, 관리 상태도 좋다.
청도의 자연 경관을 표현하고, 시구를 남겨 조선 말 청도 지식인의 자연에 대한 인식과 문학적 취향과 교훈을 제시하려는 뜻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