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500654 |
---|---|
한자 | 雲谷精舍 |
분야 |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운문로 2297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김난아 |
문화재 지정 일시 | 1990년 8월 7일![]()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11월 19일 - 운곡정사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재지정 |
현 소재지 | 운곡정사 -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순지리 342-2![]() |
성격 | 주거 건축 |
양식 | 소로수장형 |
정면 칸수 | 4칸[안채] |
측면 칸수 | 1칸[안채] |
소유자 | 김병돈 |
관리자 | 김병돈 |
문화재 지정 번호 |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순지리에 있는 조선 시대 주거 건축.
운곡(雲谷) 김몽로(金夢魯)[1828∼1884]의 생가이다.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순지리 342-2에 있는데 운문면사무소에서 순지리 방향으로 난 69호선 국도를 따라 약 2,500m 정도 이동하면 길 좌측에 있다.
운곡 김몽로의 생가인데, 운문댐 건설로 인해 1993년에 현 위치로 이건하였다. 운곡정사란 당호는 근처에 있던 낙화정이 퇴락하자 편액을 옮기면서 생겨났다.
전면에 세운 3칸 규모의 평대문을 들어서면 마당을 사이에 두고 ‘一’자형의 사랑채와 안채가 나란히 ‘二’자형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안채 좌후 측에는 사당을 배치하였다.
사랑채는 정면 4칸, 측면 1칸 반 규모의 맞배 기와집이다. 평면은 대청을 중심으로 좌측에는 온돌방 1칸과 고방을, 우측에는 온돌방 1칸을 각각 연접시켰다. 좌측 온돌방의 전면에는 중간 설주 등 고식의 수법이 남아 있다.
안채는 정면 4칸 측면 1칸 규모의 우진각집인데, 평면은 대청을 중심으로 좌측에는 안방과 부엌을, 우측에는 건넌방을 각각 연접시켰다.
1990년 8월 7일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90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상북도 민속문화재로 재지정되어 유지 관리가 잘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