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501881
한자 秋夕
이칭/별칭 한가위,중추절,중추가절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지역 경상북도 청도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석대권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세시 풍속
의례 시기/일시 음력 8월 15일

[정의]

경상북도 청도군에서 해마다 음력 8월 15일에 지내는 명절.

[개설]

추석 은 한가위·중추절(仲秋節)·중추가절(仲秋佳節)이라고도 한다. 이 중에서 한가위의 한은 ‘크다’, 혹은 ‘정(正)’의 뜻이고 가위는 ‘가운데’, 즉 8월 15일을 뜻한다. 추석은 한 해 농사가 마무리되고 오곡과 과일들이 익어 수확하는 계절이라 명절 중에서도 가장 풍성한 때이다. 청도 지역에서는 이날 햇곡식으로 술과 송편을 빚고 햇과일로 차례를 지내며 산소를 찾아 성묘도 한다.

[연원 및 변천]

추석 의 연원은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잘 나타나 있다. 신라 제3대 왕인 유리왕 때에 음력으로 7월 16일부터 8월 15일까지 편을 갈라 길쌈 짜기 내기를 하고 지는 편이 술과 음식을 장만하여 이긴 편에 사례하고 한바탕 놀이를 하였다며 이 풍속을 일컬어 ‘가배’라 하였다. 이 가배가 변하여 가위가 된 것이다.

그 후로 추석은 고려 시대에는 9대 속절 중 하나였고, 조선 시대에는 설날·한식·단오와 더불어 4대 명절의 하나가 되었다. 현대는 설날과 더불어 민족의 최대 명절로 꼽히고 있다.

[절차]

청도군에서는 추석이 가까워 오면 조상의 묘를 찾아 벌초를 한다. 벌초는 되도록이면 추석 전에 끝내지만 차례를 지내고 나서 성묘와 벌초를 동시에 하는 사례도 있다. 추석에는 갓 수확한 햇과일과 햇곡식으로 정성스럽게 음식을 장만하여 조상에게 차례를 올린다. 추석 전에 햇곡식을 수확하지 못했다면 중양절에 차례를 지내기도 한다.

추석 차례상에는 송편이 빠지면 안 된다. 송편은 반달 모양의 송편과 온달 모양의 송편을 빚어 올리는데, 매전면 동산 2리에서는 콩고물을 넣은 송편 외에도 엄비떡을 만들어 먹었다고 한다. 엄비떡은 햇곡식의 찹쌀에다 여러 햇과일을 넣어서 얼버무린 떡이다. 추석 차례를 마치고 나면 음복을 하고 간단한 제수를 차려 성묘를 간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추석 이면 풍각면·이서면·각북면 등 청도 지역 곳곳에서 그네를 뛰며 놀았다. 이 지역에서는 ‘건촌’에 물탕 먹으러 가기도 했는데, 이 물을 ‘조금물’이라 하여 마시면 배탈이 나지 않는다고 여겼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