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501845
한자 淸道-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놀이/놀이
지역 경상북도 청도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석대권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소멸 시기/일시 일제 강점기 - 청도 소싸움 폐지
관련 행사 시기/일시 1990년연표보기 - 영남 민속 투우 대회를 시작으로 매년 3·1절 기념 행사로 청도 소싸움 진행
1999년연표보기 - 청도 소싸움 축제 시작
놀이 장소 청도 소싸움 경기장 -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삼신리 693-2지도보기
성격 민속놀이
노는 시기 매주 주말 상설 경기
관련 의례 행사 청도 소싸움 축제

[정의]

경상북도 청도군에서 두 마리의 황소를 맞붙여 승부를 겨루는 놀이.

[개설]

소를 중요한 생산 수단으로 여겼던 전통 사회에서 소싸움은 어느 지역에서나 볼 수 있는 것이었다. 하지만 두 마을 또는 여러 마을에서 마을을 대표하는 소를 끌고 나와 연례적으로 벌인 소싸움은 경상남도 일원과 경상북도 청도 지역 등 이른바 가야 문화권에서만 전승되었다.

추석 놀이로 행해진 청도 소싸움은 일제 강점기에 강제 폐지되었다가, 1970년대 중반부터 고유의 민속놀이로 다시 자리 잡기 시작했다. 1990년대 이후 경상북도 청도군에서는 전국 최대 규모의 소싸움 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연원]

소싸움이 시작된 것은 오래전 소가 농사에 이용되면서부터일 것이라 추측하는데 정확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신라가 백제와 싸워 이긴 전승 기념 잔치에서 비롯되었다는 설과, 고려 말에 자생적으로 생겨난 놀이라는 설 등이 구전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일찍이 소를 농경에 이용해 온 우리 민족이 서로 머리를 맞대고 힘을 겨루는 소를 보면서 응원하고 즐기기 시작한 것을 소싸움 발생 배경으로 보고 있다. 예로부터 경상남도 진주, 경상북도 대구, 청도 지역의 소싸움이 유명하다.

[놀이 도구 및 장소]

청도군에서는 ‘정월 씨름, 팔월 소싸움’이라는 말이 있다. 추석 무렵은 힘든 노동이 일단락되는 농한기이다. 이 기간 중에 일꾼들이 주도한 놀이가 바로 소싸움이다. 추석이 되면 인접한 두 마을에서 자연스레 소싸움 이야기가 나오고, 각 마을에서는 싸움에 나설 소를 가린다.

풍각면 봉기리와 경주시 산내면 대현리의 소싸움을 보면, 인접한 두 마을에서는 1930년대 중반까지 매년 추석 이튿날이나 셋째 날에 두 마을 사이에 있는 개울에서 소싸움을 벌였다. 각 마을에서 가장 힘이 센 황소가 한 마리씩 출전하는데, 소의 목에는 적·청·황색 세 가지 천을 엮은 ‘이남기[끈]’를 둘러 주었다. 소를 앞세우고 마을의 남녀노소가 함께 싸움터에 나가며, 이때 풍물패를 꾸려 자기 마을의 소를 응원했다.

[놀이 방법]

소싸움에 출전하는 소는 1대 1로 대결을 하며, 머리를 맞대고 싸우다가 먼저 머리를 돌려 달아나면 패한다. 경기 기술로는 머리 정면 공격인 머리치기, 머리를 맞대고 힘을 다해 밀어붙이는 밀치기, 축구의 헤딩슛처럼 뒤로 빠졌다가 순간적으로 체중을 실어 공격하는 모둠치기, 상대 소의 목을 공격하는 목치기, 옆구리 쪽을 공격하는 옆치기, 뿔을 공격하는 뿔걸이와 뿔치기, 머리를 상대 목에 걸어서 공격하는 들치기 등 다양하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소싸움은 마을 공동체의 참여와 후원 아래 행해졌고, 소싸움의 승패를 마을의 승패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런 점으로 미루어 보면 소싸움은 줄 당기기, 동채싸움 등과 마찬가지로 대동 놀이의 성격을 지니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싸움소는 소속 자연 공동체의 모든 소를 대표하는 존재였다. 아울러 소와 함께 농업 생산을 주도하는 일꾼들인 남성, 나아가서는 모든 마을 사람을 대표하는 존재였다. 이런 의미에서 소싸움은 각 마을 간의 생산력 경합이라는 의미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현황]

추석 놀이로 행해진 소싸움은 일제에 의하여 강제 폐지되었고, 1970년대에 이르러 고유의 민속놀이로 다시 자리 잡아 나갔다. 1990년 ‘영남 민속 투우 대회’를 시작으로 매년 3·1절 기념 행사로 서원천변에서 개최되었고, 이후 1999년부터 ‘청도 소싸움 축제’로 자리매김했다. 또한 1999년 문화 관광부 지정 ‘한국의 10대 지역 문화 관광 축제’로 선정되어 한국을 대표하는 축제로 인정받았다.

이후 전통적 소싸움에는 없던 체급 구분이 이루어지고, 승자 진출전[토너먼트] 방식으로 각 체급의 우승 소를 가리게 되면서 대동 놀이 성격의 전통적 소싸움과는 그 성격이 달라졌다.

2011년 9월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청도 소싸움 경기장이 정식으로 개장하였으며, 2012년 현재 청도 소싸움 경기장에서는 매주 주말마다 소싸움 상설 경기가 열린다.

경기에 참여하는 싸움소는 농사일 대신에 체력 단련과 기술을 집중 연마한다. 지구력과 근력 향상을 위해 험난한 산길이나 모래밭을 달리고, 통나무나 흙더미에 머리를 박으며 싸움 기술을 익힌다. 주 무기인 뿔을 뾰족하게 만들기 위해 뿔에 대패질을 하기도 한다. 소 주인은 여물에 보리쌀과 콩을 삶아 먹이며 소의 몸을 관리하고, 경기가 임박하면 한약재나 보양식을 먹이기도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