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501067
한자 寶壤
분야 종교/불교,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종교인
지역 경상북도 청도군
시대 고대/삼국 시대,고려/고려 전기
집필자 이종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미상
몰년 시기/일시 미상
학교|수학지 보양 수학지 - 당나라
활동지 봉성사 - 경상남도 밀양시
활동지 운문사 -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 1789지도보기
성격 승려
성별
대표 경력 운문사 중창

[정의]

신라 말에서 고려 초에 청도 운문사(雲門寺)를 중창한 승려.

[개설]

보양(寶壤)[?∼?]에 대해서는 『삼국유사』 제4권에 수록된 보양 이목(寶壤梨木) 조(條)를 제외하고는 기록이 남아 있지 않아, 생몰 연대, 가계, 출신 지역, 수학 과정 등의 자세한 행적을 알 수 없다. 다만 석굴사(石崛寺)의 비허(備虛) 스님과 형제 사이였음을 알 뿐이다.

[활동 사항]

보양이 중국 당나라에 가서 불법(佛法)을 전해 받고 돌아오는 길에 서해 한 가운데 이르렀다. 그때 갑자기 용 한 마리가 나타나 보양을 용궁으로 인도함으로 따라가서 불경을 외우고 비단으로 만든 금빛 가사 한 벌을 시주로 받았다. 보양이 떠날 때가 되자 용왕은 자신의 아들 이목(璃目)으로 하여금 보양을 모시고 가게 하면서, 이렇게 예언하였다. “삼국이 어지러워서 불법에 귀의하는 군주가 없습니다. 그대가 내 아들과 함께 돌아가서 작갑(鵲岬)에다 절을 짓고 살면 도적들을 피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몇 년 안에 틀림없이 불법을 수호하는 현군(賢君)이 나와서 삼국을 평정하게 될 것입니다.”

보양이 돌아와서 밀양의 한 절에 머무르고 있을 때였다. 고려 태조 왕건이 동쪽을 정벌하다가 청도에까지 이르렀는데, 도적들이 견성(犬城)에 모여 거만하게 굴면서 항복하지 않았다. 태조보양에게 도적들을 쉽게 제압할 수 있는 방법을 물었다. 그러자 보양은 개라는 동물은 밤에, 앞쪽만을 지키는 습성이 있으므로 낮에 북쪽을 치라고 조언했다. 태조보양의 말을 따랐더니 과연 도적들이 패하여 항복했다. 태조가 고맙게 여겨 가까운 고을의 조세 50석을 주어 향화(香火)를 받들게 하였다. 이러한 인연에 따라 절에 보양태조의 초상화를 봉안하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절 이름을 봉성사(奉聖寺)로 고쳤다.

후에 보양이 오늘날의 운문사가 있는 골짜기에 갔더니, 원광(圓光)이라는 한 늙은 승려가 인궤(印櫃)를 전해 주고 사라졌다. 폐사가 된 절을 일으키려고 북쪽 봉우리에 올라가서 살펴보니 절의 뜰에 황색의 오층탑이 보이므로 그곳에 가보았으나 아무런 흔적도 없었다. 다시 올라가서 살펴보니 까치 떼들이 땅을 쪼고 있었다. 서해 용왕이 작갑(鵲岬)에 절을 지으라고 하던 말을 떠올리고, 땅을 파보았더니 무수한 벽돌이 출토되었다. 그 벽돌을 모아 탑을 만들고, 절을 중창한 뒤 절 이름을 작갑사(鵲岬寺)라 짓고 그곳에서 살았다. 태조 왕건이 후삼국을 통일한 뒤 보양이 절을 짓고 산다는 소식을 듣고 밭 500결을 절에 시주했으며, 937년(태조 20) 운문선사(雲門禪寺)라고 사액하였다. 보양은 바로 이 절에서 생애를 마쳤다.

서해 용왕의 아들 이목은 절 옆의 작은 연못에 살면서 보양의 법화(法化)를 도왔는데, 어느 해 몹시 가물어서 밭의 채소까지 말라버리자 보양이 이목에게 비를 내리게 했다. 그 바람에 가뭄은 면했으나 이목이 할 일이 아닌 일을 했다고 천제(天帝)가 이목을 죽이려 했으므로, 보양은 이목을 평상 밑에 숨겼다. 하늘에서 온 사자가 이목을 내놓으라고 하자 보양이 뜰 앞의 배나무를 가리키니, 사자들은 배나무에 벼락을 치고 하늘로 올라갔다. 배나무가 꺾어져서 시듦에 이목이 어루만지자 다시 살았다고 전한다.

[사상과 저술]

저술이 전혀 남아 있지 않고 단편적인 자료 밖에 없어서 보양의 사상이 어떠했는지 잘 알 수는 없다. 다만 신라 말에 중국에 유학한 승려들 가운데 선종(禪宗) 계열에 몸담은 이가 많고, 태조의 사액이 운문선사(雲門禪寺)인 것으로 보아 선종 계열에 속한 고승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묘소]

묘소가 남아 있지 않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