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500706
한자 仙巖書院
분야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선암로 455-27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김난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577년연표보기 - 선암서원 건립
훼철|철거 시기/일시 1868년연표보기 - 선암서원 훼철
개축|증축 시기/일시 1878년 - 선암서원 중건
문화재 지정 일시 1975년 8월 18일연표보기 - 선암서원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79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선암서원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재지정
현 소재지 선암서원 -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신지리 335지도보기
성격 유교 건축|서원
양식 익공 양식
정면 칸수 5칸[강당]
측면 칸수 2칸[강당]
소유자 밀양 박씨 선암 문중
관리자 밀양 박씨 선암 문중
문화재 지정 번호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정의]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신지리에 있는 서원.

[개설]

삼족당(三足堂) 김대유(金大有)[1479∼1552]와 소요당(逍遙堂) 박하담(朴河淡)[1506∼1543]을 향사하기 위해 건립한 서원이다.

[위치]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신지리 335에 있다. 금천면사무소에서 신지리 방향으로 난 지방도 919번을 따라 오다 신지 1리 새마을 회관에서 약 100m 정도 직진한 후 좌회전한다. 이 길을 따라 다시 약 300m 정도 이동하면 선암서원이 있다.

[변천]

삼족당 김대유소요당 박하담을 향사하기 위해 건립한 서원이다. 초창은 1568년 (선조 1)으로, 매전면에 있는 운수정에 두 사람의 위패를 봉안하고 향사하여 향현사라 하였다. 이후 1577년(선조 10)에 청도 군수 황응규의 주선으로 사우와 위패를 현재의 위치로 옮기고 선암서원이라 개칭하였으나, 1868년 흥선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 의해 훼철되었다. 지금의 건물은 1878년(고종 15)에 박하담의 후손들이 다시 중창하여 선암 서당으로 고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형태]

선암서원은 튼 ‘ㅁ’자로 이루어진 정침 뒤쪽에 북향하여 있어, 제택(第宅)에 서당(書堂) 건물이 첨가된 형식이라 할 수 있다. 안채와 사랑채인 득월정(得月亭), 행랑채가 ‘ㄷ’자 평면을 이루고 그 뒤편으로 남향(南向)한 선암 서당이 있다.

안채[정침]는 정면 5칸, 측면 1칸으로 우좌 측으로부터 부엌, 방, 마루, 마루, 방의 순서로 평면이 구성되어 있다.

득월정은 정면 4칸, 측면 1칸의 소규모 건물로 정침과는 토담으로 구분되어 있다. 온돌방 2칸, 대청 2칸의 단순한 평면이며, 팔작지붕의 홑처마는 선자가 걸린 귀보다 중앙 부분이 훨씬 튀어 나오도록 서까래를 길게 걸었다. 측면은 간주(間柱)를 세워 2칸통(二間通)처럼 하고 충량을 올려 대량에 턱을 걸었다.

부속 건물은 정침으로 출입하게 된 대문칸채[정면 9칸, 측면 1칸]와 맞은편채[정면 8칸, 측면 1칸]인데 고간(庫間)으로 구성된 것이다.

소요당은 정면 5칸, 측면 2칸의 규모인데, 평면 구성은 좌우 퇴칸에 전퇴를 둔 방이 각 한 칸씩 있다.

[현황]

2012년 현재 유지 관리가 잘 되고 있다. 1975년 8월 18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79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의의와 평가]

선암서원은 서원이나 사당으로서의 역할보다는 향리 토호(土豪)의 제택의 기능이 큰 건물로 소요당보다도 정침과 사랑채인 득월정(得月亭), 그리고 좌우의 부속 건물의 건축 기법이 흥미롭고 독특한 서원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